폭죽이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은?…“미세먼지 농도 단시간 회복”

입력 2019-12-05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세먼지 시간 농도 추이 (표 = 서울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10월 5일 개최한 서울 세계 불꽃축제 폭죽 사용에 따른 대기질 영향 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는 불꽃축제로 인한 미세먼지 발생이 환경과 시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대기질 조사 결과 행사장 주변 국소적인 범위에서 일시적으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상승했다. 그러나 원활한 대기 확산으로 단시간에 기존의 대기질 수준으로 회복됐으며 인근 주거 지역에는 농도 변화가 없어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질 측정은 행사 시간 전, 중간, 후로 나눠 폭죽이 터지는 한강을 중심으로 행사장 근거리는 여의도(반경 1km)와 이촌 한강공원(반경 2km) 두 지점에 이동측정 차량을 각각 설치했고, 주변 지역에 있는 영등포구와 용산구, 동작구 도시대기측정소 농도를 관찰했다.

▲초미세먼지 시간 농도 추이 (표 = 서울시)

행사장의 실시간 농도 변화는 행사 초반인 20시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44㎍/㎥였다. 한 시간 후인 21시 55㎍/㎥로 최고 농도를 기록한 후 22시 54㎍/㎥, 23시 11㎍/㎥, 24시에는 5㎍/㎥로 나타났다.

미세먼지(PM10) 농도는 20시 56㎍/㎥, 21시 75㎍/㎥, 22시 80㎍/㎥로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23시 24㎍/㎥, 24시 9㎍/㎥로 농도가 낮아졌다.

신용승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이번 행사는 대기질이 좋은 상황에서 개최돼 불꽃축제로 인한 영향이 행사장 일부에 일시적으로만 영향을 미쳤다”면서 “하지만 미세먼지 농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는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행사 개최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