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인상과 금리 상승, 부동산 가력 하락 등으로 가계 재정상태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법원경매 시장에 주거용 물건이 늘고 있다.
4일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달 수도권 지역 주거용 부동산의 경매 진행건수는 총 2085건으로 7월 1493건에 비해 40% 증가했다.
이는 올 들어 월별 물건수로는 가장 많은 것으로, 지난달 처음으로 2000건을 넘어섰다. 전국적으로도 지난 달 총 8143건이 경매에 부쳐져 6월(1만148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고, 7월(6732건) 대비 21%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물건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징후인 법원의 경매계(경매사건 담당 부서) 숫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8월 들어 평택, 천안, 목포, 강릉 등 8개 지법 또는 지원에 10개의 경매계가 신설됐으며 6, 7월에도 5개가 새로 생겼다.
반면, 낙찰가율등은 내리막길이다. 8월 수도권 지역 주거용 부동산의 낙찰률과 낙찰가율은 각각 49.4%, 89.5%로 올해 들어 한번도 깨지지 않았던 낙찰률 50%, 낙찰가율 90%가 무너졌다. 평균경쟁률도 물건당 6.2명에 그쳤다.
지지옥션 강은 팀장은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금융권에서 채권회수를 위해 시간 유예를 두지 않고 바로 경매로 넘기는 추세"라며 "가계 사정이 어려운 서민들의 삶의 터전이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