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사태 여파’ 고위험 DLS 발행 급감

입력 2019-11-14 08: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게티이미지뱅크)

올해 3분기 고위험성 파생결합증권(DLS) 발행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손실을 일으킨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영향으로 보인다. 은행들이 판매해 문제가 된 DLF는 해외금리와 연계된 원금비보장형 DLS를 펀드에 담은 것이다.

1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분기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금액이 3조7488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37.1% 급감했다.

원금비보장형 DLS 발행금액은 올해 1분기 4조1277억 원에서 2분기 5조9556억 원으로 44.3% 증가했다가 3분기 감소세로 돌아섰다. 발행 건수도 1분기 871건에서 2분기 1063건으로 늘었다가 3분기에는 833건으로 감소했다.

특히 금리연계형 DLS는 3분기 발행금액이 1418억원으로 전분기보다 61.9% 줄었다. 월별로 보면 발행금액이 6월 1601억 원에서 7월 288억원 으로 72.0% 급감한 데 이어 8월 530억 원, 9월 600억 원으로 1000억 원선을 밑돌았다.

원금비보장형 중 신용연계 DLS 3분기 발행금액은 1조3889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45.4% 줄었고 상품연계형은 5249억 원으로 7.9% 감소했다.

DLS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결합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과 달리 금리, 신용, 원자재, 환율 등을 기초자산으로 활용하는 파생결합상품이다.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기간 정해진 구간에서 움직이면 약속한 수익률을 지급하고 해당 구간을 벗어날 경우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