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영향받겠지만 현수준 유지할 듯..외국인 주식·채권 동반매도 1년만 처음
원화가 여타통화대비 대외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이다. 미중 무역협상 진전과 노딜 브렉시트(영국의 합의없는 유럽연합(EU) 탈퇴) 가능성 감소 등에 원·달러 환율 하락폭이 그 대상국인 중국 위안화 환율 하락폭보다 컸기 때문이다.
외국인은 국내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자금을 뺐다.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동반매도한 것은 1년만에 처음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9/11/600/20191112112221_1387920_581_650.jpg)
전일대비 변동폭도 0.33%(3.9원)에 달했다. 이는 주요국중 브라질(0.58%)과 영국(0.49%) 다음으로 큰 것이다.
정진우 한은 외환시장팀 과장은 “우리나라가 미중 무역분쟁과 관련해 가장 영형을 많이 받는 국가다. 무역분쟁이 고조화됐을 때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더니 1단계 무역합의 진전 기대감에 따른 대외리스크 완화로 확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원·달러 환율이 최근 상승하는 모습이다. 충분히 많이 떨어졌다는 인식도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미중 무역협상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원·달러가 급등할 것 같진 않다. 그렇다고 추세적으로 하락세는 아닐 것 같아 숨고르기 양상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전반적인 외화차입여건도 안정적이다. 국가부도위험지표인 외국환평형기금 CDS 프리미엄은 10월 평균 32bp로 직전월 보다 1bp 상승하는데 그쳤다. 3월에는 30bp를 기록하며 2007년 10월(24bp)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등 국내 8개 은행기준 만기 1년 초과 중장기 대외차입 가산금리는 56bp로 전월대비 8bp 상승했다. 이는 올해 평균 54bp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9/11/600/20191112112236_1387921_432_355.jpg)
주식시장에서는 3000만달러(355억원) 어치가 빠져나갔고, 채권시장에서도 5억5000만달러(6513억원) 어치가 나갔다. 주식과 채권시장 모두에서 자금이 빠진 것은 지난해 10월(-42억7000만달러, 주식 -40억3000만달러, 채권 -2억3000만달러) 이후 처음이다.
최지언 한은 국제총괄팀 과장은 “주식자금은 국내외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된 것이, 채권자금은 위험회피 심리 완화와 일부 만기상환 등이 영향을 미쳤다”며 “규모가 크진 않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