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9/10/600/20191028164721_1381876_446_216.jpg)
임플란트는 최근 건강보험의 적용범위 확대로 치료비 부담이 덜해져 시술의 문턱이 많이 낮아졌다. 그래서 임플란트를 고민하는 이들이 많아졌는데, 임플란트 시술은 사전의 정밀한 검사가 가장 중요하므로 CT등을 통한 정밀 검사 후 이에 최적화된 시술 계획을 수립, 실천하는 것이 필수다.
특히 임플란트의 식립 각도, 깊이, 사이즈 등을 고려해야 할 뿐 아니라 치주조직의 상태, 다양한 신경관들의 위치 등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잇몸뼈의 양이 부족한 환자라면 다양한 방식의 뼈이식 수술을 별도로 진행해야 한다.
임플란트는 시술이 끝이 아닌 시작이다. 정기적이고 장기적인 유지 관리가 그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임플란트 시술 후 관리 소홀로 임플란트 내부 유지나사의 파절, 나사의 풀림 등의 부작용을 경험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마른 오징어나 껌 등의 질기고 단단한 음식물을 자주 섭취할 경우, 잠을 자는 도중 심하게 이갈이를 하는 경우, 교통사고나 기타 외상에 의한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런 경우는 별도의 치료를 통하여 임플란트에 가는 부담을 줄여주지 않을 경우, 추후에는 더 큰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
임플란트 시술 이후 임플란트 내부의 나사 풀림, 파절 등이 우려된다면 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SCRP 임플란트를 고려할 수 있다. 스크류 타입과 시멘트 타입이라는 두 가지 임플란트 보철물의 장점을 혼용하는 방식으로, 치과용 시멘트를 얇게 바른 뒤 나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나사 풀림 우려가 적고, 보철물의 탈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SCRP type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내부의 나사 풀림 가능성을 낮추고, 보철에 문제가 생겨도 쉽게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 가능한 가장 우수한 임플란트 타입이지만, 환자 잇몸뼈의 형태에 따라서 SCRP type이 적용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사전에 CT를 통한 정밀 검사 및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임플란트 시술 유형 중 가장 난이도가 높고 과정도 복잡하기 때문에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춘 치과 의사에게 시술 받는 것이 중요하다.
노종욱 일산 뉴욕탑치과(일산 치과) 대표원장은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실시하여 임플란트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며 유지관리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