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9/10/600/20191016092002_1376994_406_259.jpg)
목디스크는 경추 사이에 있는 추간판 사이로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근이나 척수를 누르는것으로, 목을 이루는 경추뼈와 뼈 사이를 지지해주는 추간판, 즉 디스크가 탈출해 발생한다. 제 자리에서 탈출한 디스크는 신경을 눌러 목 부근의 통증이나 주변 부위의 저릿함, 통증 등을 유발한다. 특히 후두부에는 얼굴, 귀, 턱을 이루는 신경과 혈관이 모여 있는데, 디스크가 이들을 누르게 되면 신경이 자극받거나 혈류가 통하지 않아 불편함이 발생한다.
해당 질환은 보통 일상생활에서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할 경우 발병률이 높다. 또 높낮이가 낮은 곳에서 무언가에 집중해 고개를 과도하게 숙이는 경우 발생하기도 하는데, 고개를 숙여 오랜 시간 공부하는 어린 학생들은 물론 스마트폰, PC 등의 사용량이 많은 젊은 층, 그리고 노화로 인한 중장년층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만약 평소 어깨 통증이 지속되면서 팔 저림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긴장성 두통과 머리 울림 현상이 있거나, 자고 일어나도 목이 뻐근하고 개운하지 않으며, 뒷목이 당기면서 어깨까지 아프다면 목디스크 초기 증상을 의심하고 인근 통증의학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이를 방치한다면 점차 팔이나 손에 저림 현상, 통증, 근력 저하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초기에 질환을 발견해 약물주사, 자세교정, 운동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는 물론 도수치료와 신경차단술, 고주파수핵성형술, 신경성형술 등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가능성이 높다.
그중에서도 도수치료는 치료사가 손으로 직접 틀어진 근육과 골격을 바로 잡고 관절 부위를 자극해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치료법이다. 수술 없이 오로지 숙련된 치료사의 손, 소도구로만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의 몸에도 별다른 무리가 가지 않는 치료이다.
다만 모든 치료는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게 진단받은 후 진행해야 하는 만큼 비수술적 치료 또한 증상, 생활패턴, 연령 등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병원을 선택할 때는 치료에 능숙한 시술자가 담당하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조주원 포천 송우리 서울베스트통증의학과 원장은 "목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습관도 중요하다. 평소 목과 고개만 앞으로 내미는 자세나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목을 구부리는 등 부적절한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잘못된 자세만 바로잡아도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