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적 수술 부담스러운 고령층 척추관협착증 환자, 도침요법 효과적

오래 사용한 물건이 쉽게 고장 나는 것처럼 우리 몸 역시 노화에 따른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자연스레 높아진다. 그중에서도 척추는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쉽게 나타나는 신체 부위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에게서 자주 발병하는 척추관협착증이 바로 그것이다.

지현우 본아한의원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퇴행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극심한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라면서, “노화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자극,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척추관협착증 발병 시 요추 퇴화 현상으로 인해 뼈가 가시처럼 자라나 하체와 연결된 신경을 압박한다. 또한 후관절 돌기, 추궁, 황색인대 등이 두꺼워지는 등 변성을 일으켜 척추관을 자극한다. 이는 곧 하반신 이상 증세의 원인이 된다. 실제로 척추관협착증 발병 시 허리 통증 뿐 아니라 엉치 및 허벅지•종아리•발끝 등의 저림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아울러 다리 근육이 가늘어져 정상적인 거동이 어려워진다. 이는 곧 노년층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더욱 큰 문제는 척추관협착증이 발병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고령층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일부 환자들은 외과적 수술에 대한 부담감으로 파스, 소염제, 물리치료 등 자가 치료에만 매진하기도 한다. 절개에 대한 두려움, 치료 후 회복 및 재활 기간이 지나치게 길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 수술에 따른 고통 발생 우려 때문이다.

지 원장은 “여기서 반드시 상기해야 할 점은 척추관협착증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상태가 점점 악화돼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신경성 간헐적 파행증이 더욱 심해져 보행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간헐적 파행증이란 걸을 때 다리가 아프다가 쉬면 낫는 증상을 말한다. 신경성 파행이 반복되면 척추 신경의 안정성이 근본적으로 악화돼 치료가 어려워지고 더욱 복잡해진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빠른 회복을 원한다면 척추관협착증 비수술요법인 도침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도침요법은 뭉뚝한 특수침인 침도로 척추관과 주변 근육 및 인대의 병변 조직 유착, 반흔을 개선하는 비수술 요법이다. 척추 주변 근육 및 인대를 탄탄하게 개선하고 비정상적인 척추관 협착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치료 포인트”라고 덧붙였다.

도침요법은 척추 신경 관련 염증을 완화시켜 척추관협착증 개선 효과를 견인하는 것은 물론 허리 통증 완화 효과도 도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의학적 침구 이론과 현대의학의 수술 요법을 결합하여 개발한 소침도요법이 치료 기원으로 고질적인 동통성 질환 케어에 적합하다. 아울러 척추관협착증 외에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오십견 등 굳은 관절을 유연하게 개선하는데에도 효과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