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노마십가(駑馬十駕)/셀프연금

입력 2019-09-3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제임스 딘 명언

“영원히 살 것처럼 꿈꾸고 오늘 죽을 것처럼 살아라.”

미국 영화배우. ‘에덴의 동쪽’, ‘이유 없는 반항’, ‘자이언트’ 단 세 편의 영화에서 주연을 했을 뿐이지만, 그는 1950년대 영화계의 핵심적 인물 중 하나였다. 오늘은 그가 교통사고로 혜성 같은 짧은 생애를 마친 날. 1931~1955.

☆ 고사성어 / 노마십가(駑馬十駕)

둔한 말이라도 열흘 동안 열심히 달리면 빠르게 잘 달리는 말이 하루 동안 가는 거리를 갈 수 있다는 뜻이다. 타고난 재능이 없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성실하게 노력하다 보면 재능 있는 사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 성실과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출전은 순자집해(荀子集解) 권학편(勸學篇).

☆ 시사상식 / 셀프연금

우리나라 퇴직자들의 평균 연령은 49.4세지만 국민연금은 만 60~65세부터 받을 수 있다. 10년 이상 연금 공백기가 생기는 셈이다. 100세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수단으로 공적연금과 금융자산을 개인 스스로 조합해 연금처럼 주기적으로 현금을 수령하는 현금흐름을 만드는 것을 뜻한다.

☆ 우리말 유래 / 팽개치다

못마땅하거나 싫증나 일이나 물건을 내던진다는 뜻. 논밭의 새 쫓는 토막을 ‘팡개’라 한다. 대나무 토막 한 끝을 네 갈래로 가른 다음 작은 막대를 ‘十’ 자로 물려서 동여매 만든다. 막대를 땅에 꽂았다 빼면 흙이나 돌이 끼는 데 그걸 던져 새를 쫓는 일을 ‘팡개질’이라 한 데서 유래했다.

☆ 유머 / 교육의 힘

신병 훈련소에서 교관이 “지금부터 사회에서 쓰던 말투 대신 항상 말끝을 ‘다’ 와 ‘까’로 끝낸다! 알았나?”라 하자, 신병들이 모두 “알았다!”라고 대답했다.

훈련 끝나고 마침 부대 식당을 방문한 사단장 식판에 배식담당 신병이 국을 공손하게 떠주었다. 사단장이 얼굴을 빤히 쳐다보자 당황한 신병이 한마디했다. “더 주까?”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