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리베이트, APAC 혁신랭킹 발표.."한국, 의약품 제조 역량 및 임상 분야 투자 부족 해결 과제"
한미약품, 대웅제약, 제넥신, 휴온스, 툴젠 등이 아시아지역 혁신 바이오제약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시장조사기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는 2일 'APAC 제약 혁신 현황: 순위로 보는 기업 분석과 미래 전망(Pharmaceutical innovation in the APAC region: A quantitative company ranking and future outlook)'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있는 총 4만6509개의 제약·바이오텍 중 신약개발 가능성이 있는 929개 기업을 선별, 대형/중소형으로 나눠 혁신 랭킹 순위를 정했다. 특히 혁신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신약 개발 초기의 파트너십 활동 ▲신약 개발 ▲성숙도의 세 가지 주요 평가지표를 적용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9/600/20190901173342_1361532_654_359.jpg)
국내 기업은 대형제약사 중에서는 한미약품과 대웅제약이 각각 11, 12위로 20위권내 이름을 올렸다. 이어 한독(22위), SK그룹(24위), LG화학(26위), 유한양행-녹십자-종근당(29위), 보령제약(35위) 등이 이름을 올렸다. 국내 중소형 기업 중에서는 제넥신이 가장 높은 10위에 올랐고 이어 휴온스(15위), 툴젠(31위), 헬릭스미스(48위), 메디톡스(57위) 순으로 나타났다.
클래리베이트는 한국의 경우 정부의 바이오산업 지원 정책 및 다양한 인센티브를 기반으로 일본이 독점하고 있는 제약 혁신 분야에 강력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정부에서 기업의 새로운 목표 탐색 및 화합물의 유효성 예측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과 같은 지원 정책을 높이 평가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9/600/20190901173355_1361533_649_293.jpg)
데이비드 리우(David Liu) 클래리베이트 아시아태평양 총괄 부사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와 지역에서는 아직 제약분야의 혁신을 글로벌 업적으로 이어가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중국과 한국 등 에서는 이미 사회, 경제적 변화와 규제 개혁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이 지역 내 더 많은 제약사가 혁신의 수준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신약 출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