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제품 개발ㆍ수출 본격화 됐다

우리나라 항공관련 제품 수출이 확대되고 있다.

7일 국토해양부 항공안전본부는 지난 2월 체결된 한미 항공안전협정(BASA)에 따라 우리나라 항공제품이 미국정부의 안전성 인증을 취득하고 전 세계에 수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근 이의 국내 개발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공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수입국 정부의 안전성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중 가장 권위 있는 인증이 미국의 인증이다. 하지만 미국은 BASA 체결이 안된 국가의 제품은 인증접수를 거부해 그간 우리나라 항공제품은 수출이 어려웠었고, 그런만큼 항공관련 제품 개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올 2월 19일 한미BASA 협정이 체결되자 우선 금호타이어㈜가 B737 항공기용 타이어를 자체 개발해 미연방항공청(FAA)의 인증을 취득했고 뒤이어 경남 창원 소재 중소기업체인 퍼스텍㈜은 항공기 조종 등에 필수적인 자료를 생성하는 디지털 대기자료컴퓨터를 개발하는 등 총 4개 제품이 국토부 항공안전본부에 안전성 인증을 신청했다.

항공안전본부에서는 이들 제품에 대해 안전성 검사와 기술기준 적합성 확인을 거쳐 인증서를 발부하고, 이어 미국 정부의 인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금호타이어㈜는 연간 300억 원 이상의 항공기 타이어 매출을 목표로 항공기 제작사 및 항공사들과 타이어를 공급하는 협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제품 개발업체는 이들 제품의 해외 판매도 적극 모색 중에 있어, 향후 수출도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항공안전본부는 7일 관련단체 및 업체 관계자 50여명을 초청하여 한미간 BASA의 내용과 항공제품의 인증신청 절차 등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고 밝히고, 앞으로 관련업체의 이 분야 진출을 지원하는 정책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