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입 잔액 21.9조 중 재정증권 16조에 한은 차입금 6조..적자재정에 조기집행 탓
정부가 올 상반기중 마이너스통장에서 빼 써 갚아야 할 잔고가 22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수가 예년만큼 호조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조기집행 등에 나섰기 때문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7/600/20190716151547_1347273_866_357.jpg)
부문별로 보면 재정증권 발행 잔고는 16조원, 일반회계 기준 한국은행 일시차입금 잔고는 6조원이다. 기획재정부가 한은에 일시차입금으로 돈을 빌린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이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2015년 이후 없었다.
기재부는 올 상반기 중 재정증권으로 38조8680억원을 조달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 전체 기간중 2조원을 조달한 것에 비해 크게 증가한 규모다. 아울러 5년만에 재정증권 발행을 재개하기 시작한 2011년 이래 최대 규모다.
양곡관리특별회계 등을 포함한 정부의 한은 대출금 규모는 올 3월말 현재 8조616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6년 1분기(10조2801억원) 이후 12분기(3년)만에 최고치다.
정부가 국회로부터 승인받은 일시차입 한도는 40조원으로 양곡관리특별회계와 공공자금관리기금을 뺄 경우 30조원이다. 즉, 기재부가 재정증권 발행과 한은 일시차입으로 한 번에 최대한 빼 쓸수 있는 마이너스통장 한도가 30조원이라는 의미다.
이는 정부의 씀씀이가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 올들어 5월까지 총수입은 215조8000억원인데 반해, 총지출은 235조원을 기록 중이다. 또, 조기집행 등 적극적인 재정운용으로 올들어 5월까지 통합재정수지는 19조1000억원, 관리재정수지는 36조5000억원 적자다. 연간계획(291조9000억원) 대비 5월말까지 집행실적은 154조6000억원(53.0%)으로 전년동기(142조3000억원, 50.8%)대비 12조3000억원(2.2%포인트) 초과 집행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올들어 재정 조기집행률이 상당히 높아졌다. 자금수요가 증가한 부문도 있었다”면서도 “상반기 중 10조원 이상 초과세수가 있었던 2016년부터 2018년까지와 단순비교하기 어렵다. 크게 문제가 있는 상황은 아니다. 세입세출에 결손이 없었던 2015년과 비슷한 상황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