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재난 대응훈련 나선 KT “제2의 아현국사 재난 막는다”

입력 2019-07-03 15: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KT직원들이 혜화국사서 실시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2019년 통신재난 대응훈련’에 참가해 피해를 입은 통신 시설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KT)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서울 혜화국사서 ’2019년 통신재난 대응훈련‘을 실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통신재난 대응훈련은 국가적 통신 재난 상황에 대비한 민관군 합동 대응 훈련으로 진행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KT 주관으로 통신사업자와 국가정보원, 경찰청, 소방청, 육군, 한국전력 등이 합동으로 실시했다. 이날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과 노웅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황창규 KT 회장 등은 직접 훈련 현장을 참관하며 통신재난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이번 훈련은 폭발물 테러 KT 혜화국사에 정전과 선로시설 피해가 발생해 인근 지역에 유무선전화와 인터넷 통신 장애가 벌어진 상황을 가정하고, 통신 재난상황에 과기정통부와 통신사가 함께 합동 대응해 통신서비스 긴급 복구를 실시하는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KT는 훈련에서 혜화국사 테러로 인한 통신 장애 발생 직후 과천 네트워크관제센터에 위기대책본부와 혜화국사에 현장상황실을 개설했다. 이후 과천에 구성된 과기정통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상황실과의 화상 연결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공유했다.

KT는 중앙사고수습본부의 긴급 복구 지시에 따라 이동통신, 인터넷, IPTV, 국제전화, 일반전화 서비스 별로 이원화된 망을 통해 서비스에 영향이 없도록 트래픽 우회 소통을 실시해 서비스에 영향이 없도록 했다. 그리고 피해를 입은 통신 시설 복구를 위한 전원, 선로, 전송, 일반전화, 인터넷, 이동통신 분야 별로 전용 복구 장비와 인력을 투입해 시설 복구를 진행했다.

통신사간 협력체계도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했다. 서비스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신사업자 간 와이파이 서비스 개방과 로밍 서비스를 통한 긴급 통신 소통 방안 확보 훈련도 함께 진행됐다. 로밍 서비스는 특정 통신사의 재난 발생 시 사용자가 타 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이용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올해 12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이동통신 3사가 합동으로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오성목 KT네트워크부문장 사장은 “이번 훈련은 민관군 합동으로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점검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훈련”이라며 ”KT는 앞으로도 통신재난 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강화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통신망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T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