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반도체 규제, 소재 국산화 촉진”-키움증권

입력 2019-07-03 08: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키움증권이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가 반도체 소재 국산화를 촉진시킬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3일 “일본 정부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소재 3개 품목에 대해 한국 수출 규제 조치를 발표했다”며 “해당 제품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 포토 레 지스트(PR), 고순도 불산(HF)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의 핵심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일본이 각각 70~90%의 점유율로 독과점하고 있는데, 보도에 따르면 8월부터 수출 규제가 실행된다”며 “각각의 수출 계약 건 별로 '일본 정부의 승인 절차(90일 소요)'를 거쳐야만 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3개 품목 외에도 웨이퍼 등의 소재가 추가 지정될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이슈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반도체 소재 국산화가 절실해 보인다”며 “이번 조치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업황 영향은 미미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국내 업체의 점유율이 D램 73%와 낸드가 46%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며 “수출 규제로 인한 양산 차질 발생 시 출하량 감소를 뛰어넘는 가격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사업 확대를 위해 하반기부터 EUV(극자외선)의 양산을 시작할 예정인데, 해당 공정에 사용되는 EUV용 포토 레지스트를 일본으로부터 전량 수입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일본의 수출 제한이 발생할 경우, 고객 확대를 목전에 둔 삼성 파운 드리 부문의 영업에 차질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짚었다.

또 “반도체 소재는 중장기 성장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첨단 공정에 대한 기술 보호'와 '소재의 원활한 공급'을 목적으로, 반도체 소재에 대한 국산화를 추진해오고 있다”며 “이번 사태는 15% 수준에 불과한 반도체 소재의 국산화율을 더욱 빠르게 끌어올리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