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ㆍ중견기업에 무인화와 자동화 등을 활용한 스마트공장이 생겨도 일자리가 감소하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7일 공개한 보고서 '고용영향평가 브리프'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국내 기계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 공장 도입에 따른 고용의 증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화·무인화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근거가 없다는 분석이다.
스마트공장은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부 직무와 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이를 도입하는 기업에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그 비용의 50%를 지원한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면 일부 업무를 기계가 수행하게 돼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와 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다는 기대가 공존한다.
노동연구원의 분석 대상인 중소·중견기업 1곳당 스마트공장 도입 이후 고용의 평균 증가 규모는 20여명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분석 대상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 이전부터 매출 확대 등에 따른 노동 수요가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해 스마트공장 도입 효과로 볼 수 있는 고용 증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연구원은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고용 효과는 음과 양의 효과가 있다”라며 “스마트공장 도입이 적어도 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들에 등장한 새로운 직무로 스마트공장 시스템 운용, 정부 분석, 진단에 관한 직무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연구원은 "작업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스마트공장의 도입 취지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