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노조 파업 가결…15일 부터 7400대 버스 멈추나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15일 총파업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서울에서 7400여 대의 버스가 멈춰설 것으로 우려된다.

9일 서울시버스노동조합에 따르면 조합원 파업 찬반 투표 결과 재적 조합원 대비 찬성률 89.3%로 파업이 가결됐다.

이날 61개 회사(63개 노조) 재적 조합원 1만7396명 중 1만6034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1만5532명, 반대 469명, 무효 33명 이었다.

서울버스노조는 지방노동위원회 조정이 최종 불발되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총연맹이 예고한 15일부터 전국 버스노조와 함께 파업에 돌입한다.

3월 말 기준 서울 시내 전체 버스회사는 총 65개, 노선 수는 354개, 차량 대수는 7405대다.

그러나 서울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른 현안에서 한발 물러서 있다.

지난해부터 인력을 300명 이상 추가로 채용하고, 운행 횟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주 52시간제를 단계적으로 적용한 데다 준공영제(적자분을 지자체가 보전해주는 제도)로 재정 여건이 다른 지방자치단체보다 낫기 때문이다. 서울시 버스기사의 평균 근로시간은 47.5시간이다.

하지만 서울시버스노조는 여전히 일부 장거리 노선의 경우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을 초과하게 된다며 추가 노선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 5.9% 임금 인상을 비롯해 정년 연장과 학자금 등 복지기금 연장도 주요 요구 사항이다.

사측은 경영상 부담을 이유로 임금 인상과 복지기금 연장에 반대하고 있다.

주 52시간제 타격이 가장 큰 경기버스 노조는 해결책으로 요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경기도는 서울, 인천이 동조하지 않는 한 단독으로 올릴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버스 노조 파업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부단체장을 소집해 버스요금 인상 등 적극적인 대처를 당부했다.

이날 국토부는 서울 용산에 있는 국토부 회의실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을 불러 버스 파업 및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한 지자체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김정렬 국토교통 2차관은 "버스파업 시 비상수송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불법 파업은 엄중히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