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이후 4번의 완화기..금융상황 완화시 3분기 후 GDP갭 상승 최대
금융상황이 2015년부터 완화적 상황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17년 11월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하면서 2017년 3분기(7~9월)를 정점으로 완화 정도는 다소 축소된 모습이다.
또, 금융상황 완화는 국내총생산 격차(GDP갭)를 상승(총수요 확장)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 효과는 완화 후 3분기가 지난 시점에서 정점을 이루는 것으로 분석됐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5/600/20190509112708_1327156_1200_636.jpg)
이와 관련해 허진호 한은 부총재보는 “2017년 4분기 이후 완화정도가 축소된 것은 금리인상을 반영한 때문이다. 작년말 주가가 하락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면서도 “향후 통화정책방향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금융상황지수(FCI, Financial Conditions Index)란 가계 및 기업신용, 단기외채 비중 등 신용지표와 통화량, 투신권자금조달등 유동성지표, 코스피200 변동성지수, 일중환율 변동폭등 시장변동성지표, 대출태도·대출수요·신용위험지수 등 금융기관 서베이자료 등 50개 금융변수를 분석, 금융상황 변화 및 판단지표로 활용하는 지수다.
다만 한은은 이번에 구성변수를 기존 50개에서 6개(실질단기금리, 실질실효환율, 실질주가, 실질주택가격, 기간스프레드, 리스크프리미엄)로 대폭 축소하고, 구성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분석방법을 변경한 신규 금융상황지수를 공표했다. 이 수치가 0을 기준으로 높으면 완화적임을, 낮으면 긴축적임을 의미한다. 다만 그 수치가 ±1을 벗어나면 금융상황이 지나치게 완화적(+) 또는 긴축적(-)이라는 뜻이다.
새로운 금융상황지수는 실물경제를 예측하는데도 유용한 지표라는게 한은측 설명이다. 실제 금융상황 완화시 총수요가 확장됐다. 또 3분기 경 그 효과가 최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