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릭스, RNAi 플랫폼 기술의 독점적 권리로 파이프라인 지속 확장

입력 2019-04-12 10: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RNAi 신약 개발 기업 올릭스가 자체 개발 RNAi 플랫폼 기술의 글로벌 권리를 독점적으로 확보했으며, 추가 파이프라인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주 긴비대칭 siRNA (lasiRNA)에 대해 유럽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며 “이에 미국, 유럽,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독점적 권리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RNAi 구조 기술은 타사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 실시 자유를 보유하고 있어 타사의 기술사용, 모방 가능성을 원천 차단했다”고 덧붙였다.

전날 올릭스가 공시한 특발성폐섬유화(IPF)치료제 미국 특허는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의 물질 특허 중 하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첨단기술개발사업으로 싱가포르 국가기관인 A*Star와 공동 국제과제를 마친 바 있다. 폐섬유화의 주요 유전자인 CTGF를 억제하는 흡입제형으로 동물(마우스) 모델에서 치료 효력을 확인했다. 현재 올릭스는 특발성폐섬유화치료제 관련 논문 발표를 준비 중이며, 내년 미국 FDA 임상 1상 IND 신청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에 등록된 특발성폐섬유화(IPF)치료제의 미국 특허 청구항에는 인체 내 모든 CTGF를 타겟할 수 있는 매우 광범위한 조항이 포함됐다. 이에 비대흉터치료제, 특발성폐섬유화치료제, 망막하섬유화체료제 등 현재 파이프라인 이외 추가 섬유화 질환의 파이프라인을 검토하고 있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올릭스의 RNAi 플랫폼 기술의 글로벌 독점적 권리 확보로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큰 다양한 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희망과 근본적인 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며 “향후 다양한 적응증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며 신약개발과 기술이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올릭스는 프랑스 안과전문의약품 기업 ‘떼아’에 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치료제를 유럽 등 지역에 기술이전한 바 있다. ‘휴젤’에 비대흉터치료제를 아시아 지역에 기술이전을 하는 등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해 조기에 대륙별로 기술이전하는 사업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