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과 혼동할 수 있는 회전근개파열, 정형외과 통한 진단 중요

▲사진=조성권 글로벌튼튼병원 관절센터장

50대 주부 B씨는 최근 들어서 밤에 쉽게 잠을 들지 못하고 이내 잠들면 극심한 어깨통증 때문에 깨기 일쑤였다. 어깨가 콕콕 쑤시는 정도를 넘어서서 근육을 칼로 도려내는듯한 강렬한 통증 때문에 정형외과 내원을 고민했다. 주변인들은 그러한 증상이 오십견의 징후일 수 있으니 내원해서 적절한 치료를 받으라고 했고 최근 정형외과를 찾아 진단을 받아보니 의사로부터 ‘회전근개파열’이라는 진단을 듣게 되었다.

오십견의 경우 대표적인 어깨질환 중 하나이며 50대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하여 동결견이라는 명칭보다 해당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특별한 이유 없이 어깨 관절을 싸고 있는 관절 주머니에 염증이 생기면서 이차적인 문제로 주변 조직들이 굳어버린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옷을 입고 벗기 힘들며 밤에 통증이 나타나 잠을 이루기 힘든 증상이 대표적이다.

회전근개파열은 통증과 팔을 올리는 힘이 현저히 떨어지고 파열 범위가 커지게 되면 팔 자체를 들어올리기 어려워진다. 야간통이 나타나는 것이 오십견과의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팔을 들어 올리다가도 힘이 없어서 유지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어깨통증을 앓는 환자의 경우 짐작이나 예측으로 위 두 질환을 명확하게 분별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만큼 반드시 정형외과를 내원하여 객관적인 검진과 그에 대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조성권 대전 글로벌 튼튼병원 관절센터장은 “어깨가 뻣뻣해지며 통증이 있는 방향으로 돌아눕기조차 힘든 증상이 오십견과 비슷하지만, 회전근개파열은 어깨를 지탱하는 힘줄이 파열된 상태로써 면밀한 진단을 통하여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밤잠을 설칠 정도로 심한 어깨통증이 2~3주 지속되거나 최근들어서 자주 결리고 뻐근하다면 빠른 내원을 통하여 객관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라고 전했다.

질환의 초기이거나 증상이 가벼운 경우라면 비 수술적인 치료를 통하여 진행할 수 있지만 단순한 어깨 통증이라고 생각하고 병을 키워 내원하는 경우가 많아 수술적인 방법을 통하여 파열에 대한 봉합을 필요로 하는 증상이 더 많은 편이다. 회전근개파열의 수술적인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이중 브릿지 봉합을 통하여 파열된 힘줄을 봉합하는 것이 유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MRI장비와 초음파를 통하여 파열의 정도를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장비를 갖춘 병원 선택과 숙련된 의료진에게 진단받는 것이 중요하며 어깨의 상태에 따라 진단이 달라지고 치료 방법이 달라지는 만큼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