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광고로 보는 경제] "하일, 히틀러!" 뜬금없이 이게 무슨…

원본보기
▲아니, 이건...

이거 1996년경에 게재된 실제 광고다.

광고를 보자마자 두 손, 두 발 다 들고 말았다.

◇대체 왜 이런 콘셉트의 광고를?

일단 이 광고는 삐삐라는 상품을 다루고 있다.

삐삐는 10~20자 정도의 숫자 텍스트를 주고받는 무선호출기를 일컫는다. 숫자로 된 텍스트 메시지가 날아오면 ‘삐삐’ 소리가 나서 삐삐다. 발신은 전화로만 할 수 있고, 삐삐는 수신만 가능하다. 옛날엔 다 이런 것들 쓰고 살았다.

다들 보면 느끼시겠지만, 지금 삐삐가 문제가 아니다. 광고 속 여성 모델은 명백하게 히틀러의 코스튬플레이(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원본보기
▲콧수염, 철십자 훈장. 빼도박도 할 수 없는 고퀄리티의 코스프레.

또 황당한 건, 쓸데없이 고증 퀄리티가 상당히 높다. 콧수염은 기본이고, 광고를 보는 이들이 혹여라도 나치가 아닌 다른 코스튬플레이라고 착오라도 하실까봐 나치의 상징 ‘철십자 훈장’까지도 완벽히 재현했다. 허, 나 참….

히틀러를 인용한 까닭은 이러하다. 무선통신기술 개발 초기엔 기술 수준이 낮아 숫자 몇 개 전송하는 ‘삐삐’가 터지는 데도 있고, 안 터지는 데도 있고 그랬다. 이 제조사는 자사의 삐삐가 ‘전국을 지배’할 정도의 수신감도를 가졌다고 홍보하는 중이다.

수신감도가 전국을 지배→지배하면 히틀러의 나치 독일→그래서 히틀러 코스프레…. 기적의 논리 전개다. 요즘 같은 시대에 이 광고가 게재됐다고 생각해보면… 아연실색할 일이다.

아니 애초에 히틀러 대신 이순신 장군이나 거북선을 빌렸어도 의미는 유사했을 것이다. 그런 광고가 실제로 있기도 하고. 무슨 생각으로 저랬던 걸까? 그냥 눈에 띄고 싶었던 걸까?

원본보기
▲맥락은 다르지만 위인 이순신 장군을 등장시켰던 한국통신(현 KT)의 통신 서비스 '메가패스'의 광고. 이순신 장군을 다소 코믹한 이미지로 만든 광고다. 말 그대로 '유쾌'했기 때문에 여론의 지탄을 받지 않았다. (유튜브 캡처)

◇자주 범해지는 실수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무 생각이 없어서 그렇다.

나치 독일의 폭압에 의해 피해를 본 개인 혹은 민족이 참담한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정서적 공감.

심지어 우리나라 역시 2차 대전 무렵에 독일-일본-이탈리아의 추축국(樞軸國)에 대항한 연합국 진영에 속했다는 역사적 인식.

당사국인 독일이었다면 사회적 지탄에서 그치지 않고 현행법에 의거해 처벌될 수 있을만한 중죄로도 간주될 수 있다는 규범적 가치.

광고를 제작할 때 당연히 고려해야 할 요소들 중 그 어느 것에 대해서도 단 한 번도 진지한 고찰을 해 보지 않고 콘텐츠를 만들면 '이런 걸작'이 완성된다.

실은 별로 특이한 사례도 아니다. 2000년대 중반엔 이런 적도 있다.

옛 일본군의 위안부 운영을 콘셉트로 누드 화보를 찍었던 어느 배우가 있었다. 위안부는 한 국가의 공권력이 식민지 여성의 성을 짓밟은 전쟁범죄다. 이 한-일 양국 관계의 가장 민감한 ‘역린’‘성 상품화’ 콘텐츠로 재해석한 것이다.

위안부?→성적 유린?→성?→그럼 누드. 꼬리를 무는 연상을 하다 아무 생각 없이 대충 만들면 역시 이런 상품이 나온다. 예시가 둘 밖에 없어서 기사에 두 개만 언급한게 아니다. 이런 식의 잘못된 역사 인식에 기반한 광고는 이루 셀 수 없이 많아서, 기사의 여백이 부족해 두 개만 언급한 것이다.

어떻게 하면 이런 실수를 없앨 수 있을까? 어떤 저작물을 만들기 전에 요모조모로 생각을 많이 하면 된다. 생각해보고, 좀 아니다 싶으면 안 하면 된다. 그것만 지켜도 이런 저작물은 애초에 등장 자체를 할 수가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