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개발 후유증' 석유공사 부채비율 2287%…지분매각 등 비상경영 돌입

입력 2019-03-11 13: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쿠르드 유전서만 6352억 손실…장기근속·해외 인력 구조조정

▲한국석유공사 울산 본사 전경(한국석유공사)
이명박 정부 시절 무리한 해외자원개발 사업 후유증으로 한국석유공사의 부채 비율이 급증했다. 석유공사는 자산 매각, 인력 구조조정 등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석유공사는 공사의 부채비율이 2017년 700%대에서 지난해 2287%로 높아졌다고 11일 밝혔다. 자원 외교 손실 등 영업 외(外) 비용 증가로 당기 순손실이 1조1595억 원에 달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석유공사의 영업이익은 5434억 원이었다.

석유공사의 자본 감소 요인 대부분은 부실한 해외 자원 개발 후유증이다. 특히 이라크 쿠르드 유전·사회간접자본(SOC) 투자금 중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6532억 원이 손실 처리되면서 자본금이 크게 줄었다. 석유공사는 2008년 이명박정부 자원외교 1호 사업으로 쿠르드 지역 유전, SOC 개발에 나섰다. 하지만 지나치게 현실성 없는 수익성 검토 탓에 회수금은 전체 투자금(6억8700만 달러) 중 1.3%(900만 달러)에 그쳤다.

2011년 시작한 미국 이글포드 광구 사업에서도 신규 사업 불발로 부채 4305억 원이 생겼다. 탐사·개발(E&P) 사업을 조건으로 투자를 유치했지만 사업이 불발되면서 투자금이 부채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공사 대형화를 추진할 때 차입한 부채 이자금 역시 4260억 원에 이른다. 2008년 석유공사는 하루 석유 생산량을 5만 배럴에서 2012년까지 30만 배럴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사업 확장에 나섰지만 무리한 투자로 부채 비율만 늘어났다. 하루 생산량도 2017년 18만 배럴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석유공사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7일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했다. 우선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대규모 자산 매각을 추진한다. 비우량자산뿐 아니라 우량자산까지도 지배력을 유지하는 한도에서 지분을 판다는 계획이다. 또 수익성 높은 우량자산은 민간 참여를 유도, 내년까지 투자 2조4000억 원을 유치하기로 했다.

인력 구조조정도 병행한다. 내년까지 본사와 해외 자회사에서 각각 42명, 286명을 감원한다. 또 고위직 정원을 줄이고 장기근속자의 명예퇴직을 유도할 계획이다. 석유공사는 이와 함께 예산 절감과 집행 유보를 통해 각각 120억 원, 320억 원 확보하기로 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의 사랑을 받는 공기업으로 다시 태어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