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기혼여성·중장년일수록 고용 불안감 크다

입력 2008-06-24 08: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구조조정, 정리해고 등 고용불안감이 연령, 결혼여부, 기업규모, 고용형태 등 계층별로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인크루트가 직장인 1734명을 대상으로 ‘고용불안감 정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고용 형태별로 6.5점의 비정규직이 5.7점으로 집계된 정규직에 비해 고용불안감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불안감의 정도는 10점 만점 기준으로 고용이 가장 안정된 수준을 0점, 가장 불안한 수준을 10점으로 두고 자신이 느끼는 수치를 택하게 해서 집계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고용불안감이 컸다. 여성의 경우 평균 6.0점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은 5.8점으로 0.2점 정도 남성이 낮았다.

동성 사이에도 결혼여부와 자녀의 유무에 따라서도 고용불안감은 차이가 났다. 남성의 경우 기혼유자녀(6.0점)〉미혼(5.7점)〉기혼무자녀(5.1점) 순인데 반해, 여성은 기혼무자녀(6.4점)> 기혼유자녀(6.0점)〉미혼(5.9점) 순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이 높아질수록 고용불안감도 비례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평균 5.3점 정도를 보였는데, 30대는 5.9점, 40대는 6.1점, 50대 이상에서는 6.8점 등 고연령 층으로 갈수록 점수가 뚜렷이 높아졌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5.7점)보다는 중견기업(5.8점)이, 중견기업보다는 중소기업(5.9점) 재직자들이 더 큰 불안감을 나타냈다.

특이한 것은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는 공기업 종사자의 고용불안감이 중소기업과 같은 5.9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외국계 기업은 4.7점으로 가장 낮았다.

한편 고용불안감은 건강상태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불안감이 6점을 넘는 응답자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못하다는 비율이 16.3%로 5점 이하의 응답자의 9.9%보다 6.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막연한 고용불안감은 개인의 업무능률과 성과 뿐 아니라 개인의 건강상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고용불안감을 더 많이 느끼는 비정규직, 여성, 고연령층의 고용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과 인식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