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피피, 기업회생 절차 신청…"플랜트 건설시장 침체 여파"

입력 2019-01-08 10: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플랜트 제조업체 케이피피가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서울회생법원 제1부는 3일 케이피피에 대해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고 8일 밝혔다.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전까지 케이피피의 채권자와 담보권자는 강제집행, 가압류를 비롯 경매 절차를 진행할 수 없다.

케이피피는 2009년 설립됐다. 본점은 경기도 평택시에 있으며,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설비 및 발전설비의 설계, 제작 및 유통을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다. 2013년엔 한국아이티오와 신기술을 통한 LPG 소형저장 탱크를 양산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가스공급 장치 제작공급사 I.T.O와 LPG 산업 전문제조회사인 케이피피&아이티오를 합자설립하기도 했다.

케이피피가 기업회생 신청에 이른 것은 국내외 플랜트 시장 침체의 영향이 크다. 케이피피는 "글로벌 경기침체 및 국내외 플랜트 건설 시장의 침체, 주요 국내 고객사들의 수주실적 부진 및 저가수주, 발주 경쟁, 인건비의 가파른 상승"을 회생절차 신청 원인으로 밝혔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의 조선사들이 따낸 해양플랜트 사업 규모는 59억 달러(약 6조6000억 원) 수준이다. 2016년 단 한 건도 없었던 것보다는 개선된 수준이지만, 2011년 수주액이 235억 달러였던 것을 고려하면 회복세는 더디다.

위드회계법인이 작성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케이피피의 영업손실액은 6억6600만 원이다. 2016년 말 15억1300만 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것에서 큰 폭으로 적자전환한 것이다. 부채가 282억 원에서 294억 원으로 12억 원 증가했고, 같은 기간 자산은 381억 원에서 378억 원으로 3억 원 줄었다.

케이피피의 주채권자는 산업은행, 국민은행 등이다. 다만 아직 채권자협의회는 구성되지 않은 상태다. 법무법인 세령이 케이피피의 법률 대리인을 맡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