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경제 전체 사령탑은 기재부 장관, 산업정책 사령탑은 산업부 장관”

입력 2018-12-18 14:13수정 2018-12-18 16: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도 산업부 업무보고…“수소차, 초기 세계시장 선점해야…국내 수요 늘려야”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조업 활력회복과 혁신’이라는 주제로 2019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를 받기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우리 경제의 거시적인 전체 사령탑이 기획재정부 장관이라면 산업정책의 사령탑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부에서 2019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에서 마무리 말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오늘의 이 계획대로 된다면 제조산업의 혁신과 더불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까지 잘 해내리라 확신이 든다”고 격려했다.

산업부는 업무보고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동차 부품산업에 3조5000억 원 이상의 재정지원과 2022년까지 친환경차 국내생산 비중을 현재 1.5%에서 10% 이상 대폭 확대하는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전기차, 수소차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해선 획기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확고하니 믿어 달라”고 당부했다.

수소차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초기에 세계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며 “그러려면 국내 수요를 늘려서 생산능력과 가격경쟁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또 전기차에 대해서는 “민간의 수요가 정부 예측보다 높아 보조금이 빨리 소진되는 등 민간의 수요는 훨씬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며 “산업부가 해당 산업의 동향을 유심히 살펴보며 예산을 여유 있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지시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완성차 업계와 부품업계 등 모두가 공동으로 각자의 역할을 소화해 가며 초기에 우위를 점하는 국가적 전략이 필요하다”며 “모두 마음을 모아 달라”고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일각에서는 산업정책이 없다는 비판 제기되고 있고, 산업 생태계가 이대로 가다가는 무너지겠다는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며 “이러한 비판의 목소리는 정부에 뼈아픈 자성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산업계의 애로사항을 제대로 경청했는지, 소통이 충분했는지 돌아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며 “혁신 성장과 혁신적 포용국가를 이루기 위한 산업발전 전략은 제조업 혁신이 핵심 기둥이 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비판의 목소리 경청하면서 비장한 각오로 제조업 부흥을 위한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우리의 전통주력 산업을 되살리고 스마트공장과 스마트 산단 등으로 제조업을 혁신하고 고도화하면서 미래먹거리 산업을 키워나간다면 우리 경제는 반드시 재도약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