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펀드, 6개월째 '제자리 걸음'

입력 2008-05-27 11: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투자대상 선정 못해 '우왕좌왕'

지난해 말 정부 주도로 출발한 탄소펀드가 6개월째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수익성의 부담과 탄소시장에 대한 인식 부족, 포스트교토 체제의 불확실성 사이에서 '탄소펀드'가 나아갈 방향을 찾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는 것이다.

27일 지식경제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첫 탄소펀드인 '한국사모탄소특별자산 1호 투자회사'가 출범한 지 6개월이 지났지만 투자 대상을 선정하지 못한 채 아직 검토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탄소펀드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투자하고 여기서 발생한 배출권을 판매해 수익을 내는 금융상품이다. 지난해 12월 에너지관리공단, 공무원연금 9개 기관투자자들의 참가로 출범했다. 또 규모도 당초 목표인 2000억원의 60%인 1200억원을 모집하는 데 그쳤다.

지경부(당시 산업자원부)는 지난해 4월 목표를 공개하고 당해 10월까지 펀드를 출시할 계획이었다. 결국 투자마감시한을 3차례나 연기한 끝에 출시됐다.

진종욱 지경부 기후변화정책팀장은 "현재 투자자 모집 설명회 때 참석했던 기업을 대상으로 협의가 진행 중에 있다"며 "투자 규모 및 조건 때문에 협의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진 팀장은 또 "대상사업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금액을 더 많이 끌어들여 투자규모를 늘리기 위해 좀 더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기업이나 지역에 투자가 검토 중이고 언제까지 투자대상지를 선정할지에 대해서는 "정부가 관여를 하지 않고 있다"며 언급을 회피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투자처를 쉽게 선정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이미 태양광발전 분야에 투자하고자 검토했다가 발전차액 지원제도 변동 때문에 최종 투자계약을 못했고, 원자재가격과 국제유가 급등으로 펀드 모집 초기와는 투자 여건이 판이하게 달라져 갈피를 잡기 힘들다는 것.

이에 대해 탄소펀드 운용사인 한국투신운용측은 "투자처를 찾지 못한 것은 아니다"라며 "탄소펀드가 사모펀드 형태여서 정보 공개에 한계가 있어 오해가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운영 계획서대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경부는 향후 산업은행이 아시아개발은행의 '미래탄소펀드'에 투자한 방식의 참여도 고려하고 있다.

진 팀장은 "향후 국내 탄소펀드보다는 해외 탄소펀드에 투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산은과 같이 해외 탄소펀드에 출자로 참여는 방식도 한 예"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