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증시 패닉’ 시총 261조 원 증발…금융위기 후 최고 하락률

입력 2018-10-28 10: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한국거래소)

10월 증시 하락폭이 2008년 금융위기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중 무역전쟁, 미국 금리인상속에 대외 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와 기업 펀더멘털 불신 등이 충격을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6일 코스피는 2027.15로 마감했다. 10월 들어서만 315.92포인트(-13.48%) 급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도 663.07로 159.20포인트(-19.36%)나 떨여졌다.

증시 하락으로 한 달 만에 국내 주식시장에서 약 261조3800억 원(코스피 209조8570억 원, 코스닥 51조5290억 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국내 증시의 이같은 급락세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나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와 맞먹는 수준이다. 실제 이달 코스피 하락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0월(-23.13%) 이후 월간 기준으로 가장 높다.

추락 속도 역시 주요국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다. 특히 코스닥지수의 하략률(-19.36%)은 거의 20%에 가까워 주요 20개국(G20)과 홍콩 등을 포함한 전 세계 27개 국가 지역의 30개 주요 주가지수 등 가장 높았다.

대만 자취안(加權) 지수(-13.78%)와 코스피(-13.48%), 아르헨티나 메르발(-12.3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미중 무역분쟁의 당사국인 중국의 상하이종합지수(-7.89%)나 홍콩 항셍지수(-10.05%)보다 훨씬 더 낙폭이 큰 것이다.

외국인 매도 역시 5년여 만에 최대다. 외국인들은 이달 들어서만 코스피 시장에서 3조7900억 원, 코스닥 시장에서 7109억 원 등 총 4조5000억 원 규모의 주식을 팔았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로 아시아 시장 전반에서 자금이 빠져나간 2013년 6월(코스피·코스닥 합산 5조1284억 원 순매도) 이후 최대 규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