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숨만 쉬어야…서울 아파트 소득대비 가격 역대 최고

입력 2018-09-03 10:24수정 2018-09-04 10: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에서 버는 돈을 몽땅 저축해도 아파트를 살 때까지 평균 10년은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가격 통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서울 아파트 PIR(Price to income ratio)은 9.9로 통계가 작성된 2008년 1분기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PIR는 주택가격을 가구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지수가 높을수록 집을 구입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민은행이 발표하는 KB아파트PIR은 국민은행의 대출거래자 정보로 작성된 지수다. 주택가격은 부동산담보대출이 실행될 때 조사된 아파트 담보평가 가격의 중윗값을, 가구소득은 대출자 연 소득 중윗값을 기준으로 삼는다.

즉, 중간 수준의 소득을 올리는 가구가 한 푼도 쓰지 않고 9.9년을 모아야 마찬가지 중간 수준의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직전 지수는 8.9로 2분기에만 1.0p가 급등했다. 그러나 올해 2분기에는 통계 산정 기준인 주택가격(4억5584만 원)이 오히려 전 분기보다 3091만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분기 가구소득이 4624만 원을 기록, 전 분기보다 830만 원 줄어드며 감소 비중이 더 커 지수는 오를 수 있었다.

3분기(7~9월)에는 최고치를 또 경신할 것으로 예측된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탄력받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국민은행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따져보면 3월보다 6월 아파트값이 1.59% 올랐지만 6월 대비 8월은 1.65% 상승해 9월을 반영하지 않아도 상승 폭이 더 컸다.

집값은 오르고 소득은 받쳐주지 않은 상황서 대출까지 옥죄는 정책에 실수요자들의 불만도 커진다. 앞서 정부는 연 소득 7000만 원이 넘는 무주택자에게 전세자금 대출을 제한하려 했다가 실수요자 반발에 부딪혀 한발 물러선 바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동산 전문가는 “현 정부가 소득주도 성장으로 가계소득을 올리고 부동산 대책으로 집값을 잡는다 했지만 성과는 아직 없다”며 “대출이 막혀 못 산 집이 급등하는 것을 보며 실수요자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