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수질기준에 '우라늄' 추가

입력 2018-08-22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는 먹는물 수질관리 강화를 위해 수돗물 수질기준에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을 추가한다.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먹는물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23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우라늄을 법정 수질관리항목으로 지정한다.

환경부는 "2014년부터 우라늄을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해 지난 4년간 지자체가 소규모수도시설의 수질을 검사한 결과, 총 4만1141건의 평균농도는 2.75㎍/L이며 감시기준(30㎍/L) 초과는 510건(1.2%)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우라늄 감시기준을 초과한 시설에 대해서는 지자체별로 지하수 관정 폐쇄와 상수도 공급, 정수장치 설치 등의 조치를 추진했다.

우라늄 수질기준 값은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거쳐 세계보건기구(WHO) 및 미국의 기준값과 동일한 30㎍/L로 결정했다.

2019년부터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정수장은 매월 1회 이상, 전용상수도와 소규모 수도시설은 매분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검사하게 된다.

먹는물 수질검사기관의 수질시료 채취규정도 개선한다.

먹는물 수질시료 채취는 보건환경연구원 등 먹는물 수질검사기관의 기술인력만 수행토록 하고 있으나,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섬 지역 등의 경우에 한해 시료채취 교육을 이수한 관계 공무원이 먹는물 수질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동안 먹는샘물 제조업체, 수처리제 제조업체 및 정수기 제조업체의 품질관리인은 품질관리 업무를 처음 수행할 당시 1년 이내에 한 번만 교육을 받으면 됐으나, 앞으로는 3년 마다 품질관리 전반에 필요한 신기술과 법령, 제도 등에 대한 교육을 받도록 할 계획이다.

정수기 품질검사에 대한 심의·평가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정수기품질심의위원회 위원을 구조·재질, 표시사항 등 분야별 전문가를 추가해 현행 ‘10명 이상 13명 이하’에서 ‘14명 이상 16명 이하’로 확대한다.

조희송 수도정책과장은 “이번 개정안으로 먹는물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먹는물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국민들이 더욱 안심하고 안전한 먹는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