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몸속 납ㆍ수은 등 유해물질 농도 조사한다

입력 2018-08-1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환경부)

정부가 중금속 등 33종 환경오염물질의 체내 농도를 조사한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민의 체내에 있는 유해물질의 농도를 조사하는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를 한다고 16일 밝혔다.

조사는 올해부터 2020년 12월까지 3년간 진행한다. 결과는 2021년 12월에 공표될 예정이다.

조사물질은 3기 26종에서 33종으로 확대했다. 임상검사 항목도 16개에서 21개로 늘렸다.

대상자는 지역, 연령, 인구분포 등을 고려해 선정했다. 영유아 500명, 어린이·청소년 1500명, 성인 3700명 등 총 5700명이다.

주요 조사물질은 유해 중금속(납·수은·카드뮴), 환경성 담배연기(코티닌), 환경성 페놀류(비스페놀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 대사체 등이다.

조사 방법은 혈액과 소변을 이용한 '임상검사', '오염물질 농도 분석', 생활환경 중 노출 경로, 노출량 및 빈도 등을 확인하는 '설문조사' 등이다. 이를 위해 설문전문요원, 임상검사 및 유해물질 분석 담당자 등 약 60명으로 구성된 조사팀이 상시 운영된다.

아울러 기초조사 결과를 통해 오염물질 노출이 우려되는 집단 또는 지역에 대해서 원인규명을 위한 정밀조사도 추진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은 그간의 연구 결과와 선진국의 사례를 검토해 수은, 카드뮴 등 중금속 2종에 대한 생체 내 농도 기준을 마련했다.

성인의 수은 혈중 농도 기준은 15㎍/L, 카드뮴 소변 중 농도 기준은 4㎍/L로 설정됐다. 3세부터 18세 이하 어린이·청소년의 카드뮴 소변 중 농도 기준은 2㎍/L이다.

이철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장은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은 환경보건 정책수립을 위해 국가규모의 인체 관찰(모니터링) 조사자료를 활용하고 있다”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우리나라 환경보건 정책을 선진화하기 위한 중요한 조사이므로, 국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