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에 잡히는 삼성 상생방안..구걸 논란은 여전

입력 2018-08-09 09: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의 투자계획이 다른 기업과 다른 점은 직접 고용의 규모를 정확하게 밝혔다는 점이다. 그리고 중소기업과의 상생 등 사회 공헌적인 측면의 내용을 상당히 구체화했다는 데 다른 점이 있다. 재계는 정부의 ‘기업 팔 비틀기’ 논란에도 불구하고, 국민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고뇌가 반영됐다고 평가했다.

삼성은 종전의 계획했던 것보다 규모를 확대해 채용을 진행한다. 이번 계획안에서 3년간 4만 명을 직접 채용하겠다고 밝혔는데, 이전에 언급된 규모보다 2만 명 더 많다. 앞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면담 이후 4대 그룹(LG, 현대차, 신세계, SK)이 제시한 고용안에는 구체적인 방법론이 언급되지 않았다. 삼성은 채용규모 뿐만 아니라 고용방식도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중소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는 2500개 스마트팩토리 전환을 지원한다. 스마트팩토리는 제조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해 생산시스템을 최적화하는 맞춤형 공장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추진하는 ‘스마트 팩토리 4.0’은 향후 5년간 1100억 원을 조성해 중소기업 2500개사의 스마트팩토리 전환과 국내 외 판로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통해 5년간 만들어질 일자리는 약 1만5000개로 추정된다.

협력사와의 상생을 위해 지원 규모는 4조 원으로 확대한다. 삼성은 기존의 1~2차 협력사 중심으로 운영해 온 협력사 지원 프로그램을 3차 협력사까지 확대하기 위해 총 7000억 원 규모의 3차 협력사 전용펀드(상생펀드 및 물대지원펀드)를 추가로 조성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협력사의 △시설 투자와 R&D 자금을 지원하는 ‘상생펀드’에 4000억 원 △물대 현금 결제를 위한 ‘물대지원펀드’에 3000억 원을 각각 조성해 3차 협력사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 부회장은 국민신뢰 회복 방안을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발표에도 이런 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 부회장과 문재인 대통령의 만남,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간담회 이후 일각에서 ‘기업 팔 비틀기’ 논란이 불거졌고, 이를 의식한 듯 삼성은 김 부총리와의 회동에서 발표하려던 투자 계획을 미루기도 했다. 또 대법원 판결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 부회장과 정부의 만남이 불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재계는 삼성의 통 큰 결정에 대해 이제 정부가 화답해야 한다고 말한다. 지난달 대한상공회의소 박용만 회장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고용을 늘리는 길은 규제 혁파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