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스마트팜 혁신밸리 8월 중 후보지 2곳 선정…신품목 위주 생산

입력 2018-07-20 09: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청년 인력 양성, 기술실증단지 조성 추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가 8월 중에 스마트팜 혁신밸리 후보지 2곳을 선정한다.

박수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19일 기자들과 만나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을 청년 창업 보육과 기술실증단지 조성을 중심으로 진행하겠다"며 "전국 9개 도(道)중 경남을 제외한 8개 도가 혁신밸리 조성 사업에 응모했고 다음 달 초 2곳을 조성지로 선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한 농업 시설이다. 정부는 올 4월 스마트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관련 시설을 집적한 혁신밸리를 조성키로 했다.

박수진 국장은 혁신밸리의 취지를 ‘청년 인력 양성과 전후방산업 인프라 강화’로 설명했다. 그간 시설 보급을 중심으로 스마트팜 보급 정책이 진행되면서 인력 양성이나 관련 기술 육성에는 한계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청년 인력 양성을 위해 혁신밸리에 ‘청년창업 보육사업’을 진행, 스마트팜 전문인력을 배출할 계획이다. 또 혁신밸리 내 농지를 청년에게 낮은 비용으로 임대해 초기 창업을 지원한다.

스마트팜 종합자금과 농식품 벤처펀드도 조성해 자본 조달도 돕는다. 농식품부는 지자체의 창업 보육 지원 계획을 조성지역 선정에도 반영하기로 했다.

스마트팜 기술을 실연할 수 있는 기술실증단지도 조성한다. 기업과 연구기관, 농업인이 함께 신기술과 품목을 개발할 수 있는 공간이다. 박수진 국장은 “식품 기업의 경우 시험 생산에 필요한 농산물을 스마트팜에서 직접 생산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혁신밸리 때문에 농산물 공급 과잉이 벌어질 수 있다는 일부 농민단체의 우려에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는 작물은 생산을 피하기로 했다. 박 국장은 “사업 설명서를 받을 때 판로 개척·확대와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는 작물이 아닌) 신품목 발굴 방안을 구체적으로 넣을 것을 요청했다”며 이를 "(부지 선정) 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라고도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