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국정지지도 61.7%…취임 후 최대 하락폭

입력 2018-07-19 13: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지며 61.7%까지 밀려났다. 최저임금 인상 논란 속에 자영업자의 민심이 소폭 이탈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도 5주 연속 하락했다.

19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 16~18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5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포인트)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율은 지난주보다 6.4%포인트 내린 61.7%로 집계됐다. 부정 평가율은 32.3%였다.

이번에 집계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가상화폐 규제와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논란이 있었던 올해 1월 4주차의 60.8%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치다. 한 주간 하락폭으로만 보면 취임 이후 가장 큰 수치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싼 논란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모든 직군 가운데 자영업에서 가장 큰 하락 폭(12.2%포인트)을 보였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부산·경남·울산(12.3%포인트), 연령별로는 50대(11.0%포인트),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7.7%포인트)이 각각 최대 하락 폭을 나타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역시 정당지지율이 지난주 대비 3.8%포인트 하락한 41.8%를 기록하며 5주째 내림세를 이어갔다. 이는 작년 4월 4주차(39.6%) 이후 약 1년 2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지지율 상승세를 이어가던 정의당은 이번에 1.4%포인트 내린 10.2%를 기록했다. 바른미래당은 7.0%, 민주평화당은 3.5% 각각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을 선임하며 지도부 정비에 들어간 자유한국당은 지지율이 전주 대비 2.5%포인트 상승한 19.5%로 다시 20% 선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부산·경남·울산에서는 13.4%포인트 오른 36.6%를 기록, 1년 8개월여 만에 처음으로 민주당을 앞섰다.

한편, 리얼미터는 지난 18일 전국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 7530원에서 10.9%포인트 오른 8350원으로 인상한 데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많이 올랐다’는 응답(41.8%)과 ‘대체로 적정하게 올랐다’(39.8%)는 응답 비율이 비슷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