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 시기 의견분분, 7월 1명·8월 3명·4분기 4명·내년 4명..무역분쟁·지표 부진 우려
한국은행이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1.50%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인상 소수의견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그리 많지 않았다. 향후 금리인상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8월과 4분기(10~11월), 내년으로 혼재했다.
한은이 수정경제전망을 수치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올해 성장률은 소폭 하향조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반면 소비자물가(CPI)는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경제지표 부진과 최근 확산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G2)간 무역분쟁 우려가 금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경제 관련 숫자들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된 것 정도만 갖고 인상하기에는 무역전쟁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도 “가계부채 문제로 대변되는 지나친 금융완화의 정도를 축소하려는 목적의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는 유효하다고 본다. 다만 G2의 통상분쟁 이후 불거진 글로벌 경제 위축 우려와 신흥국발 금융불안 국면이 지속되고 있어 당장 기준금리를 변경해야 할 유인이 크지 않다”고 전했다.
다만 하반기 경기 모멘텀이 둔화하기 전에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경기 모멘텀 둔화 가능성이 크다. 금리인상을 지연시키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그런 차원에서 일찍 금리인상 후 연준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운신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금리동결을 예상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향후 금리인상 시기에 대한 견해가 갈렸다. 다만 8월이나 4분기 인상을 예상하는 쪽에서는 늦기 전에 라는 인식이 컸다. 반면 내년으로 보는 전문가들은 경기가 부진한 측면이 크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재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고용도 그렇고 내수 관련 부분에 문제가 있어 정책기조를 먼저 전환시키기 어렵다. 최근에는 수출환경에도 불안요인이 부각되고 있다. 소비나 가계부채, 고용에도 의미있는 변화를 단기간에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은이 내놓을 올 성장률은 7명이 0.1%포인트 하향 조정을 예상했다. CPI는 11명이 유지를 예상했다. 다만 내용상으로는 하향과 상향 조정 가능성 의견이 분분했다.
한편 한은은 12일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0.25%포인트 인상 이후 7개월째 동결행진을 이어오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