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는 힘든데… 또 파업 예고한 현대차 노조

입력 2018-06-28 09: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 홈페이지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또 파업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폭탄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도 노조의 파업 움직임은 변함이 없는 것이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로 알려진 현대차 광주 위탁 공장 투자에도 반발하며 임단협과 연계하겠다며 사측을 압박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내달 2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파업 돌입 여부를 묻는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노조는 21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완료했다. 신청 이후에는 중노위가 노사 중재를 실시한다. 다만, 중재가 되지 않을 경우 노조는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도 어김없이 임금 및 단체 협약(임단협)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대차는 실적 악화와 미국의 관세 폭탄 움직임 등을 고려해 노조 측에 임금 동결을 제시했지만, 노조가 반발하자 기본급 3만5000원(호봉승급 포함)과 성과급 200%+100만 원으로 다시 제안했다. 그러나 노조는 사측이 임금과 성과급 외에 제시한 게 부족하다며 교섭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어 올해 임금 11만6276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과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올해 교섭은 임금 문제 뿐 아니라 현대차의 광주 위탁 공장 투자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합의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현대차의 광주 위탁 공장 투자를 반대하고 있는 노조가 이와 관련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파업에 찬성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노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올해 2분기 실적은 지난해 상황보다 더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노조가 한발 물러나 실적 악화를 타개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현대차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과 매출액 전망치(컨센서스)를 각각 1조441억 원, 24조1635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22.34%, 0.59% 떨어진 수준이다.

미국도 수입차에 대한 빗장을 걸어잠굴 태세다. 수입차에 최대 2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신용평가업체 무디스는 “현대차는 미국 내 판매량의 절반 가량을 한국과 멕시코에서 생산한다”며 “미국서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에서 캐나다 등 지역으로 수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겠지만 부정적 효과를 상쇄하기 어렵다”고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