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금융공기업 3년만에 적자전환..공공부문 피용자보수 GDP대비 비중 4년만 확대 재개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기금을 뺀 순수 일반정부의 수지가 10년만에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경기호조에 따른 법인세 등 조세수입이 증가한데다 부동산거래 증가로 취득세가 늘어나는 등 세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반면 비금융공기업 수지는 3년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정부의 처우개선 노력에 힘입어 공공부문 피용자보수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도 4년만에 다시 확대됐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8/06/600/20180622114521_1223714_600_251.jpg)
이에 따라 중앙과 지방정부를 합산한 순수 일반정부 수지는 5조60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2007년 흑자 이래 첫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사회보장기금 수지는 43조1000억원 흑자로 전년(43조3000억원 흑자)에 비해 2000억원 가량 흑자폭이 줄었다. 기금을 포함한 일반정부 수지는 48조7000억원이었다.
이를 명목GDP(1730조원)와 비교하면 기금을 뺀 수지는 0.3%, 포함한 수지는 2.8%였다. 같은기간 주요선진국(기금 포함) 중 스위스(1.1%)와 덴마크(1.0%)는 흑자를 보였다. 반면 일본(-3.5%)과 영국(-1.8%), 호주(-0.5%)는 적자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2.0%)과 유로지역(-0.9%) 국가 평균도 적자였다.
박영환 한은 지출국민소득팀장은 “기업실적 개선에 법인세가 늘었고 부동산거래가 늘면서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등이 증가했다. 취업자가 늘며 근로소득세도 확대됐다. 이밖에도 부가가치세 등도 증가했다”며 “국민연금 등 사회부담금 수입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8/06/600/20180622114540_1223715_600_249.jpg)
사회보장기금을 제외한 공공부문과 공기업을 명목GDP와 비교하면 각각 0.6%와 0.3% 흑자를 기록했다.
박 팀장은 “비금융공기업의 경우 전기·가스 및 에너지, 주택관련 공기업 투자지출이 늘어난 게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이밖에도 공공부문 피용자보수는 143조원을 기록해 전년(134조원)에서 9조원 가량 늘었다. 일반정부(2016년 112조5151억원→2017년 120조1062억원)와 비금융공기업(19조317억원→20조5243억원)이 늘어난 반면, 금융공기업(2조4186억원→2조4034억원)으로 줄었다. 이는 정부의 처우개선 노력에 정부처우개선비율이 전년 3.0%에서 3.5%로 증가한데다 공공부문 고용확대에 따라 공무원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