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아일랜드 낙태 찬반 국민투표에 해외 광고주 광고 게재 금지

입력 2018-05-09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오는 25일 아일랜드 국민투표…페이스북 “정치 광고 투명성 높이는 데 집중”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가 4월 11일(현지시간) 미 하원 에너지 상무위원회의 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페이스북이 아일랜드의 낙태 금지 찬반 국민투표를 앞두고 해외 광고주의 광고 게시를 금지하겠다고 발표했다.

8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이날 성명에서 “아일랜드 국민투표의 부적절한 영향이 막기 위한 노력”이라며 “아일랜드 지역 외에 거주하는 광고주가 운영하는 국민투표 관련 광고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정치 광고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집중해 사용자들이 광고 비용을 누가 냈는지, 누가 광고를 운영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일랜드는 오는 25일 헌법에 명시된 낙태 관련 조항에 관한 찬반투표를 시행한다. 1983년 아일랜든 헌법은 태아의 권리를 산모의 살 권리와 동등하게 인정해 낙태 금지를 암시해 놓았다. 이번 국민투표에서는 낙태 금지가 명시된 수정 헌법 8조 내용을 폐지할지를 표결한다.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뉴스통신사 스토리풀의 파드라익 라이언 코니데이터는 페이스북의 결단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아일랜드 같은 나라들이 민간 기업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신들의 정치선거법 규정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일랜드는 외국의 자금이 정당이나 선거에 개입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광고에 직접 지원하는 것은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는 해외 단체들이 투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끔 하는 허점으로 작용한다.

비영리단체인 투명국민투표의 리즈 카론 창업자도 페이스북의 결정을 환영했다. 그러면서도 “구글과 구글의 자회사인 유튜브는 아직 비슷한 약속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우리는 페이스북보다 페이스북에 걸리는 광고에 대한 정보가 훨씬 적다“며 ”페이스북이 더 높은 투명성을 갖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페이스북의 조치가 면피성에 그친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아일랜드의 소셜미디어 전문가 개빈 셰리던은 “2016년 미 대선 당시 러시아의 선거 개입에 페이스북이 뒤늦게 대응했듯 이번에도 늦었다”며 “그들은 단지 정치권의 규제를 피하고자 방안을 고안한 것처럼 보인다”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