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에너지 신산업 실증에 1조 3000억원 투입

입력 2018-04-25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 ‘에너지기술실증 연구 활성화 추진방안’ 과학기술자문위에 상정

민관이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가상발전소 기술, 석탄발전소 미세먼지 저감, 원자력발전소 해체기술 등 9대 실증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10년간 공동으로 1조 3000억 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에너지기술실증 연구 활성화 추진방안’을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상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민관 전담반(TF)을 구성해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대형, 융·복합 에너지기술 실증 프로젝트를 발굴했다. 재생에너지 확대, 스마트 에너지 사회 구현, 기반에너지 경쟁력 강화 등 3대 분야 9대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20%까지 끌어 올리기 위해 태양광은 건물 벽면, 도로면, 해상·간척지, 농지 등으로 적용입지를 다변화하고 3㎿급에 머물러 있는 국내 해상풍력기술을 선진국 수준인 6~8㎿급으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고 송·배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역단위 분산전원 통합관리시스템과 가스전력화 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도 실증한다.

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다수의 소규모 분산전원을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가상발전소(VPP) 기술,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전력망(V2G) 기술, 사물인터넷(IoT) 스마트센서의 자가발전을 위한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의 실증을 추진한다.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 확대에 대응한 발전용 가스터빈 시스템 국산화, 석탄화력 발전소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환경설비 국산화 , 고리 1호기 해체대비 및 해체 신산업 육성을 위한 원전해체 기술의 실증도 추진할 계획이다.

연구현장의 애로해소를 위해 실증연구 인프라도 강화한다. 실증연구에 올해 전체 에너지 연구개발 예산의 15.5%인 1200억 원을 투자하고 2020년 2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실증시설·인증제도 현황, 과제이력 등 실증인프라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후속연구에 연계 활용하도록 하며, 한국전력 등 공기업 주도로 종합 실증단지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재생에너지 입지규제 해소, 전력 분야 새로운 사업 모델 실증을 위한 전기사업법 개정 등도 지속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