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우주정거장 '톈궁 1호' 1일 저녁∼2일 오후 지구 추락 예상

입력 2018-03-30 15: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기정통부, 30일 오후 4시 위기경보 ‘경계’ 발령…"잔해물 낙하 피해 가능성은 낮아"

▲지구로 추락 중인 중국 우주정거정 '톈궁 1호'(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 1호'가 우리나라 시간으로 4월 1일 또는 2일에 지표면으로 추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톈궁 1호는 이날 오전 9시 현재 고도 182㎞에 진입했으며 한국시간 4월 1일 오후 6시 3분과 2일 오후 2시 3분 사이에 지표면으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락 가능 지역은 북위 43도에서 남위 43도 사이로,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남미, 호주, 아프리카 등을 걸쳐 있어 범위가 넓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추락 가능 범위에 포함돼 있지만 최종 추락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추락 1∼2시간 전이 되어야 내릴 수 있다. 추락 예상 시점은 대기 흐름과 밀도 등 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특히 추락 지역은 추락 우주물체의 빠른 속도로 인해 큰 변동을 보일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인공우주물체 추락충돌 대응 매뉴얼'에 따라 '경계' 단계의 우주위험 위기경보를 30일 오후 4시부로 발령할 예정이다.

만약 우리나라가 추락 2시간 전 안팎인 시점에 추락 가능 범위에 여전히 포함돼 피해발생이 우려될 경우 과기정통부는 우주위험 위기경보를 '심각'으로 상향 조정하게 된다. 톈궁 1호의 잔해물이 우리나라에 추락할 경우 효과적인 상황 대응을 위해 관계 부처 합동 우주위험대책반도 소집된다. .

하지만 ‘톈궁 1호’는 고도 70~80㎞ 상공의 대기권에 진입할 때 대기 마찰열에 의해 해체되어 대부분 소실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잔해물이 지구로 낙하하여 피해를 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까지 인공우주물체의 추락으로 인한 인명 피해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바는 없다.

추락 가능 지역인 북위 43도와 남위 43도 영역 가운데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율은 3600분의 1이어서 설령 잔해가 남는다고 하더라도 추락 지역이 우리나라가 될 확률은 극히 낮다는 관측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