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위서 논의…민관 구축 비율 50:50으로, 2022년까지 7만5000개 일자리 창출 목표
민간 주도의 스마트 공장 확산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면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상생형 모델’이 도입된다. 이를 통해 민간이 담당하는 스마트공장 구축 비중을 현재 30%에서 2022년까지 50%로 늘린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또 업종과 지역별로 시범 운영되는 스마트 공장을 현재 6곳에서 50곳까지 확대하고 5만명을 대상으로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직무교육을 실시해 향후 5년 내 양질의 일자리를 7만5000개 만든다는 계획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8일 광화문KT 12층 회의실에서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5차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전략은 국정과제인 '2022년까지 2만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실현 대책의 일환이다.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의 생산성은 30% 향상됐으며 불량률은 4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산시간은 16% 줄고 평균고용은 2.2명 늘어나는 등 최저임금 인상 및 근로시간 단축 등 변화하는 노동환경에 대응해 중소기업 일자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제조현장이 스마트화되면 안전한 작업환경이 구축되고 산업재해율이 낮아져 청년과 여성층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현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실제 사례를 보면 도장업체인 한국나노텍은 도장 공정의 스마트화 및 분진 저감시설 도입을 통해 청년층 현장인력이 27명에서 40여명으로 늘었다.
이번 대책은 기존 정부 주도의 스마트공장 확산 노력을 민간·지역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무게가 실렸다. 핵심은 정부와 대기업 지원으로 이원화된 방식에서 탈피,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공장 민·관 구축기업 비율은 30:70에서 5년내 50:50의 수준으로 균형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드는 비용은 정부와 대기업이 각각 30%, 중소기업이 40%를 부담하게 된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2023년까지 대‧중견기업 및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의 혁신 활동을 지원하는 2단계 산업혁신운동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도울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지방중기청-TP(테크노파크) 등이 유관기관은 협의체를 구성,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기업에 연구개발(R&D), 자금 등 정책수단도 연계 지원한다. 또 올해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거점으로 스마트공장 지원센터지정ㆍ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2년엔 10개로 거점을 늘리기로 했다.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선 센서ㆍ로봇ㆍ솔루션 등 요소기술 및 인공지능(AI)ㆍ가상현실(VR) 등 고도화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중소ㆍ중견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에 업종별ㆍ규모별 스마트공장 시범공장을 올해 6개에서 2022년 50개로 확대하고 동양피스톤(뿌리), 신성이엔지(전기·전자), 영신금속공업(기계) 등 대표공장도 늘린다.
올해 142억원을 투입해 기존 구축기업의 수준을 기초(생산정보 디지털화 및 제품의 생산이력 관리)→중간1(생산정보 실시간 수집·분석 )→중간2(시스템을 통한 생산공정 제어)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전용사업도 실시한다. 스마트공장은 76% 정도만 대부분 기초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생산공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은 2.1%에 불과하다.
이와 함께 5G,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 DNA(Data · Network · AI)와 VRㆍ증강현실(AR) 등 고도화 기술을 개발해 안산 시화공단에 ‘한국형 미래 스마트공장 모델'을 구축하는 방안도 우선 검토하기로 했다.
공급기업 육성과 해외진출을 위해선 대ㆍ중견ㆍ중소기업 간 ‘스마트공장 얼라이언스’ 구축이 추진된다. 이를 통해 솔루션, 센서, 컨트롤러, 로봇 등 관련기업 30~40곳을 선정하고, 선단형 해외진출, 공동 R&D, 표준화 등에 공동 대응할 계획이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전문인력을 양성도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5만명을 대상으로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실시하고 올해 4개 대학에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개발 및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ㆍ박사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세부 과제들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와 지원기관, 기업, 지자체 등의 유기적 협업을 촉진하는 ‘스마트공장 추진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도 TF 및 위원회를 통해 주기적으로 이행점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