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보복' 피해 본 롯데마트 매각 6개월째 난항

입력 2018-02-16 14: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의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직격탄을 맞은 롯데마트의 중국 점포 매각 작업이 6개월째 난항을 겪고 있다. 롯데마트는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112개에 달하는 현지 점포의 정상적인 영업이 어려워지자 지난해 9월부터 매각을 추진해왔으나 성과가 없는 상태다.

재계에서는 이달 초 열린 제15차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계기로 롯데를 겨냥한 중국의 사드 보복이 완화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흘러나왔지만, 현지에서는 아무런 상황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허리펑(何立峰)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ㆍ발개위) 주임(장관급) 간 한중 경제장관회의 이후에도 중국 롯데마트 매각 작업에는 진전이 없다.

당시 김 장관은 중국 측에 롯데월드 건설 중단과 마트매각 난항, 단체관광 제한, 한국산 자동차 배터리 보조금 차별 등의 해결을 요청했고 중국이 이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보이면서 롯데에 대한 사드 보복이 풀리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흘러나왔다.

업계 관계자는 "한중 경제장관회의가 2016년 5월 이후 중단됐다가 1년 9개월 만에 재개된 데다 양국이 상호진출기업의 여건을 개선하기로 하면서 기대감이 컸다"고 했다.

양국 경제장관회의가 끝난 지 보름 가까이 지났지만 총 99개의 점포 중 87개의 영업이 중단되고 나머지 12개 점포의 매출도 80% 이상 급감한 중국 롯데마트의 상황에는 어떠한 변화도 없는 실정이다.

매각 협상이 급물살을 타려면 중국 당국이 소방법 위반 등을 빌미로 영업을 중지시킨 87개 점포 중 단 몇 개라도 영업중지 조치를 풀어줘 긍정적 신호를 줘야 하지만 이런 변화가 전혀 감지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중국 당국의 보복을 우려해 선뜻 롯데마트 점포를 매수하겠다고 협상에 나서는 업체가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최근 한국 정부가 사드를 추가로 배치하려 한다는 일부 현지 매체의 보도가 나오면서 분위기가 더욱 악화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