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금리 3개월 만에 ‘5%’ 돌파

입력 2018-02-05 11: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채 금리 상승 여파로 시중은행의 혼합형(5년 고정 후 변동)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를 돌파했다. 지난해 10월 하나은행이 3.827∼5.047%를 기록한 이후 약 3개월 만으로 본격적 금리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부터 적용되는 KB국민은행의 혼합형 주담대 가이드 금리는 3.83~5.03%, NH농협은행은 3.69~5.03%를 기록했다. 지난해 10~11월 하나은행 주담대 최고 금리가 5%를 넘어섰지만 다시 가산금리를 낮춰 4%대로 내려온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주담대 금리가 5%를 돌파한 것은 2013년 이후 5년 만이다.

이번에 농협은행과 국민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5%를 넘은 것은 가산금리는 그대로이지만 금융채 금리가 오르면서 전체 대출금리가 올라서다. 때문에 신한은행은 3.85~4.91%, 하나은행 3.651~4.851%, 우리은행이 3.75~4.75% 등으로 혼합형 주담대 금리가 4%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5% 돌파는 시간 문제라는 관측이 나온다.주담대 가이드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AAA등급 5년물 금리는 2일 기준 2.78%를 기록, 지난해 말(2.58%)과 비교해 0.2%포인트 올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에 미국 채권 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덩달아 국내 채권시장에서도 금리 상승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권에서는 시장 금리가 계속 오르면 다른 은행들의 주담대 금리도 5%대로 올라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신총부채상환비율(DTI) 시행 등 전방위로 대출 규제가 이뤄지고 대출 금리마저 오르면서 기존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은 가중되고 신규 대출자의 문턱은 더욱 높아지게 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대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이자 비용은 가구당 308만 원에서 364만 원으로 늘고 3%포인트 오르면 476만 원까지 증가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한국은행도 시장 금리 1%포인트 상승 시 가계의 이자 부담은 약 9조 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