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 지역 대표 중견기업 50개 육성…혁신성장 4대 거점 육성

입력 2018-02-01 17: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가균형발전 비전 선포식'

정부가 지역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표 중견기업 50개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신(新)성장거점으로서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육성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는 1일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가균형발전 비전 선포식'에서 이 같은 내용의 지역산업 혁신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지역 혁신성장을 주도할 대표 중견기업 50개를 선정해 육성하기로 했다.

선정 과정에는 연구개발(R&D), 수출 등 혁신 역량, 지역 일자리 창출 능력, 지역경제 기여도 등이 고려된다.

정부는 해당 기업이 대학 등과 공동 R&D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수출ㆍ마케팅ㆍ인력을 아우르는 패키지 지원을 한다.

지역 특화 자원을 활용한 '사회적 경제 5대 분야 50개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지역 사회적 경제 기업에 기술혁신ㆍ사업화를 지원한다. 5대 분야는 △제조ㆍ유통 △에너지 △IT문화 △사회서비스 △식품제조 등이다.

또 바이오헬스, 스마트친환경선박, 에너지신산업 등 6대 혁신 산업 분야에 대해 14개 협력 프로젝트도 지원한다.

박근혜 정부에서 만들어진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기능은 창업기능 보육ㆍ투자기능 강화 위주로 다시 설계된다.

또 혁신도시와 그 주변의 대학 등을 묶어 지역의 새로운 거점으로 만드는 '국가혁신클러스터'가 본격 운영된다.

'혁신성장 4대 거점 육성' 계획에 따르면 클러스터에는 보조금과 세제, 금융, 규제 특례, 혁신프로젝트 등 5대 지원 패키지가 부여되고, 기업유치 지원단 활동을 통해 지역 중핵기업 150개사가 유치된다.

4대 거점은 국가혁신클러스터를 비롯해 청년친화형 산업단지, 세종시, 새만금 등이다.

정부는 일시적으로 규제를 면제하거나 경감해주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해 혁신산업의 대표 테스트베드로 육성할 방침이다.

지방의 산업단지는 인재와 신산업이 모이는 혁신 공간으로 재창조된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창업과 제조혁신, 양질의 주거·편의시설 등 종합적인 혁신 지원을 통해 '청년친화형 산업단지 20' 전략을 추진한다.

올해 시범 산단 3곳을 선정하고 2022년까지 20개 내외의 산단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지역 거점대학을 활용해 우수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도 가동된다.

정부는 우수인력, 연구자산, 도심 입지 등을 갖춘 지역 거점대학 등에 산학융합지구를 15개 조성,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만들 계획이다. 강원대, 충남대 등 9개 국립대학이 우선 검토 대상에 올랐다.

외국인 투자, 유턴 기업 지원 등 각종 국내 투자유치 지원제도도 일자리 창출, 신산업 업종 중심으로 개편한다.

지역기업 대상 맞춤형 마케팅 사업이 확대되고, 국내 지역과 글로벌 기업ㆍ기관 간 공동 R&D, 인력 양성 등의 협력사업도 추진된다. 지역에 글로벌 수준의 혁신역량 확충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울산과 미국 샌디에이고 간 자율주행차 분야 연계 사업 등이 그 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