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DJ 음해 공작 협조 의혹' 이현동 전 국세청장 자택 등 압수수색

입력 2018-01-30 16: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검찰이 국가정보원 대북공작금을 받고 전직 대통령의 비리 관련 풍문을 수집하는 데 협조한 의혹을 받는 이현동(62) 전 국세청장의 자택과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30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이날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이 전 청장의 자택과 사무실, 국세청 관계자들의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이 전 청장은 원세훈(67) 전 국정원장 시절 최종흡 전 3차장과 김승연 전 대북공작국장이 대북공작금을 유용해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비리 관련 풍문을 수집하는 데 협조한 의혹을 받는다.

이 전 청장은 이 대가로 최 전 3차장과 김 전 국장이 빼돌린 국정원 대북공작금 일부를 건네받은 의혹이 있다. 이 같은 음해 공작에 관여한 국세청 직원들에게도 대북공작금 일부가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음해 공작은 김 전 대통령의 영문 이름 약자인 ‘DJ’의 ‘D’를 딴 데이비슨 프로젝트이다. 김 전 대통령이 수조 원대 비자금을 해외 차명계좌에 보유하고 있다는 풍문을 조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전 3차장과 김 전 국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리 의혹을 증언해줄 사람을 해외에서 국내로 송환한다는 뜻에서 ‘연어 프로젝트’도 진행했다. 당시 국정원 직원은 “노 전 대통령이 미국 카지노의 전직 마케팅 디렉터에게 비자금 13억 원을 상자에 담아 전달했다”는 풍문을 파악하고 이를 확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공작 행위는 비밀리에 진행됐다. 국정원은 수집한 정보를 확인한 후 풍문이 근거 없다고 결론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음해 공작으로 유용된 국정원 대북공작금이 10억 원대인 것으로 파악했다.

검찰은 지난 29일 최 전 3차장과 김 전 국장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국고손실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 관계자는 “특정 민간 정치인과 관련한 비리 행위를 첩보로 확인하고 해외에 떠도는 내용을 확인하는데 대북공작금을 쓰는 것은 국정원 업무 범위가 아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