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원인 분석부터 예측까지 과학기술로 잡는다… 올해 126억 투입

입력 2018-01-25 10: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과학기술로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찾고 예측·저감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올해 126억 원을 투입한다. 지난해 120억 원보다 5%가량 늘어난 규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보건복지부는 25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도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 시행계획’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미세먼지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그간 부처·사업별로 분산됐던 연구개발(R&D) 역량을 한곳으로 모아 지난해 범부처 단일사업단을 발족했다. 2019년까지 3년간 총 사업비는 약 492억 원이다.

 우선 미세먼지 발생·유입 경로를 찾아내기 위해 정부는 중국과 일본 등 동북아 지역 미세먼지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필수적인 중형 스모그 챔버 구축에 15억 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다. 스모그 챔버는 실제 대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인위적으로 재현하는 실험장치다. 또 약 12억 원을 들여 독자적으로 한반도의 대기질 조사가 가능한 ‘항공관측 시스템’도 마련한다.

 미세먼지 입체 관측망 활용, 빅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투자도 이어간다. 지난해 정부는 고농도 시 미세먼지 단기 예보 정확도를 69%(2016년 기준) 수준에서 2020년까지 74%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제철소나 화력발전소 등 사업장의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해선 실증기술 확보 설비에 2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 미세먼지 유발 원인물질 차단을 위해 물이나 기름을 도포해 오염물질을 막아주는 초발수·초발유 필터소재 개발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실제 주택 환경에서 생활보호제품이 미세먼지에 얼마나 대응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도록 ‘실환경 평가 인증규격’을 만든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 밖에도 정부는 미세먼지 솔루션 포럼, 시민 3분 발언대, 미세먼지 파수꾼 양성교육 등 다양한 대국민 소통 창구를 마련하는 한편 동북아 및 한-유럽연합(EU) 포럼 등을 통해 국제연구협력 네트워크도 지속적으로 넓혀 나간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국장은 “미세먼지 사업단이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연구과제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 만큼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 확대로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민정 기자 @puri21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