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포스코, 中 ‘화유코발트’와 합작법인 설립… 배터리 사업 ‘가속도’

입력 2018-01-16 09:16수정 2018-01-16 10: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포스코가 중국의 광물 대기업인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현지에 2개의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포스코는 코발트 채굴권을 갖고 있는 화유코발트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코발트를 안정적인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10일 화유코발트와 리튬 이온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기 위해 합작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양사는 합작회사(가칭 ‘저장화유포스코신에너지’)에 총 10억 위안(약 1653억 원)을 투자했다. 화유코발트와 포스코는 각각 60%와 40%의 지분을 갖는다. 포스코는 화유코발트와 협력해 중국에 합작법인을 세우기 위해 2015년부터 협상을 진행해 왔다.

저장화유포스코신에너지는 중국 정부의 승인을 얻은 뒤 리튬 이온 전지 소재를 연구 개발하고, 이를 생산 판매할 예정이다.

화유코발트는 2006년부터 아프리카에서 코발트 및 구리 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특히, 전 세계 코발트 생산량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프리카에 대한 직‧간접 투자를 통해 코발트 채굴권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의 배터리 사업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리튬 전지에 쓰이는 코발트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돼서다. 이번 계약에는 “화유코발트는 포스코와 별도로 원자재 공급 계약을 체결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공급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코발트는 포스코의 미래 먹거리인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재료로 쓰인다. 최근에는 전 세계 생산량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는 콩고가 코발트에 대한 세금을 인상키로 했고, 내전으로 정치적 리스크도 커지고 있어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 코발트는 톤당 7만5500달러에 거래됐다. 연초 대비 129% 급등한 셈이다. 떨어질 줄 모르는 코발트 값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했다.

화유코발트는 포스코에 토지와 조세 취득에 관한 감면 조치 등 우대 정책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하수처리 시설이나 기타 시설 등도 제공한다.

양사는 리튬전지에 사용되는 양극재나 기타재료를 연구해 생산 판매하기 위한 합작법인도 설립하기로 했다. 포스코와 화유코발트는 ‘저장포스코허레이신에너지(가칭)'를 세울 예정이다. 이 합작법인은 포스코가 60%, 화유코발트가 40%의 지분을 보유한다.

포스코는 합작회사의 생산 경영을 위해 3원계 리튬이온 배터리인 NCM(니켈‧코발트‧망간) 기술 사용 허가 계약을 맺고, 이 기술을 제공하기로 했다.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코ESM은 니켈 80% 이상 함유한 고용량 양극재(NCM 방식)를 개발해 양산하고 있다. 이 양극재는 포스코ESM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두곳 밖에 양산하는 곳이 없을 정도로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포스코는 이 합작법인을 통해 리튬 배터리 재료 산업을 미래 핵심 비즈니스로 키운다는 복안이다. 포스코가 화유코발트와의 합작법인을 통해 원재료의 안정적인 공급받는 만큼, 기술력이 더해져 리튬 전지 부문에서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