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지배구조 개편, ‘코드 맞추기’로 변질되나

입력 2018-01-10 10:34수정 2018-01-10 11: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유진 산업1부 기자

“대기업 집단의 경제력 남용을 억제하고 지배구조 개선에 힘쓰겠습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난해 취임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편과 재벌의 자발적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재계는 최근 잇따라 ‘지배구조 개편’ 카드를 꺼내며 김 위원장의 개혁 요청에 화답하고 있다.

포문은 태광그룹이 열었다. 태광은 지난달 26일 3개 계열사 합병과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의 개인 지분 무상 증여 등의 작업을 통해 일감 몰아주기 문제를 해결하고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롯데그룹도 지주사 전환을 통해 지배구조 개선 작업에 돌입했다. 이달 초 롯데지주가 6개 비상장 계열사를 흡수·합병해 74만여 개의 순환출자를 완전히 해소하는 등 ‘뉴롯데’ 건설에 한창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효성그룹도 올해 들어 지주사 체제로 전환을 선언,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지배구조 개편은 분명 기업의 신뢰를 제고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일이지만, 최근 지배구조 개선에 나선 기업들이 ‘순수하지 않은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잇따라 지배구조 개편을 발표한 태광과 롯데 등은 공교롭게도 총수 일가가 재판이나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오너 리스크’가 존재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오너 리스크를 안은 기업들이 그동안 보여줬듯, 기업들의 결정에는 ‘정부의 코드 맞추기’가 바탕에 깔려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지배구조 개편을 단순히 정부의 입맛 맞추기로 해석하는 데 그치는 대신, 기업의 투명성 제고와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으로 바라봐야 한다. 그동안 순환출자 구조로 인해 ‘깜깜이식’ 경영이 이뤄지고 일부가 부를 독식할 수 있었지만, 지배구조 개편으로 경영의 투명성이 높아지고 주주가치 역시 제고되는 것은 분명하다. 또 사업 회사의 역량을 강화해 전반적인 기업의 가치도 높일 수 있다.

기업 역시 이번 지배구조 개편을 시작으로 경영의 투명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지배구조 개편을 당장의 위기만 벗어나려는 ‘고육지책(苦肉之策)’이 아닌, 기업의 가치를 장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묘수(妙手)’로 활용하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