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경제계 신년 인사회…"노동 관련 정책 연착륙하도록 최선 다할 것"

입력 2018-01-03 17: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정치 불확실성 확실히 걷혀"

이낙연 국무총리는 3일 "정부는 노사 양측의 현실을 충분히 감안하면서 여러 정책 수단을 가동해 노동 관련 정책들이 연착륙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8년 경제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최저임금 인상과 노동시간 단축,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기업의 부담이 늘어날 것을 정부도 잘 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노동자의 저임금과 과로를 이대로 둘 수 없다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가 주는 3개 과제로 △우리 경제가 3만 달러에 머물지 않고 계속 성장하게 하는 것 △소득 3만 달러를 다수 국민이 체감하게 하는 것 △3만 달러 국가에 걸맞은 사회를 만드는 것 등을 꼽았다.

이 총리는 경제인들에게 "우리 경제가 계속 성장하려면 4차 산업혁명에 조속히 진입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특히 혁신성장에 장애가 되는 규제를 과감히 없애겠다"며 지원을 약속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일자리와 소득이 주도하는 경제체제를 꾸준히 구축해 가겠다"면서 "경제인 여러분께서도 일자리를 늘리고 노동자의 삶을 개선하는 일에 함께 해주시면 고맙겠다"고 덧붙였다.

현재의 경제 상황에 대해 이 총리는 "3%대 성장을 3년 만에 회복했고, 무역 1조 달러에 재진입하면서 사상 최대의 수출을 기록했다"며 "이런 결과는 세계 경제의 호전에 힘입은 바 크다"고 했다.

이 총리는 올해 경제 여건이 더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관련된 중국의 경제 보복이 풀렸고 특히,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평창동계올림픽 참가와 남북 당국 간 대화의 뜻을 밝혀 안보 리스크가 얼마간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은 확실히 걷혔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그는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새해에 더욱 본격화되리라는 전망이 많다"면서 "특히 동남아를 비롯한 신흥 시장의 성장은 우리의 무역 다변화에 힘을 보태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