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ㆍ드론ㆍ혁신신약 등 미래먹거리 13개 선정…일자리 55만개 창출

입력 2017-12-25 14:37수정 2017-12-25 14: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내년 1조600억 원, 5년간 8조 투자”

인공지능(AI), 드론,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혁신신약, 스마트시티 등이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선도하고 혁신성장을 견인할 성장동력 분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제13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혁신성장동력 추진계획'을 심의ㆍ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혁신성장동력으로는 지능형인프라 분야에서 빅데이터ㆍ차세대통신ㆍ인공지능이, 스마트이동체에선 자율주행차ㆍ드론(무인기)이, 융합서비스 분야에서는 맞춤형 헬스케어ㆍ스마트시티ㆍ가상증강현실ㆍ지능형로봇이, 산업기반에선 지능형반도체ㆍ첨단소재ㆍ혁신신약ㆍ신재생에너지 등 13개가 선정됐다.

정부는 13개 분야 중 최종 결과가 제품ㆍ서비스로 나타나 5년 내에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것은 '조기상용화 분야'로, 최종 결과가 기술 형태로 나올 것은 '원천기술확보 분야'로 크게 구분했다.

조기상용화 분야는 규제개선ㆍ실증 등을 통해 민간참여와 투자확대를 유도하기로 했다.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맞춤형 헬스케어 등 3개 분야에서는 관련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규제를 풀어주고 중소ㆍ중견기업을 위한 금융지원, 인프라 조성을 추진한다.

스마티시티, 가상증강현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산ㆍ학ㆍ연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형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지능형로봇, 드론(무인기)은 국가ㆍ공공기관이 우선 구매해 활용키로 했다.

원천기술확보 분야는 상용화와 원천연구를 중점 지원한다. 차세대통신, 첨단소재, 지능형반도체는 산업에 적용될 수 있게 제품(서비스) 개발과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 혁신신약과 인공지능의 경우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환경 개선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정부는 이러한 혁신성장동력 분야에 내년에만 1조5600억 원, 2022년까지 5년간 총 7조9600억 원을 지원, 2025년경까지 5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는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내년 3월까지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추가로 발굴한 스마트공장, 스마트농업, 자율운항선박, 블록체인 등의 후보과제를 관계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상세기획, 공청회 등을 통해 면밀히 검토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