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가상화폐 사러 간 개미, 코스닥 유인책은

남주현 기업금융부 기자

코스닥시장이 조정받고 있다. 11월 말 800선을 넘보던 지수는 어느 새 750대로 빠졌다. 12월 들어 상승한 날은 4일에 불과하다. 70%가 하락장이었다.

증시 조정에 대한 이유는 많다. 외국인 및 기관의 연말 휴가 시즌과 겹친 점, 상승장을 이끌었던 바이오 열풍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진 점도 한몫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외국인 및 기관 핑계를 대기는 어려울 것 같다. 12월 들어 전날까지 개인은 무려 1824억 원어치를 팔아치운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913억 원, 1960억 원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더욱 명확한 이유는 개인투자자의 이동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분리를 주장하는 일부 금융권 관계자에게는 미안한 얘기지만, 이번에는 가상화폐 시장으로의 엑소더스가 컸다. 코스닥의 라이벌이 코스피에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로 격하(?)되는 순간이다.

실제 최근 가상화폐 거래소에는 코스닥시장 위축과는 달리 하루 평균 수조 원이 거래될 정도로 과열 상태였다. 코스닥의 추락을 가까스로 막고 있는 종목마저 가상화폐 테마주다.

정부의 브레이크도 작용하지 않았다. 가상화폐 거래를 유사수신업으로 규정해 원칙적으로 불법화하되,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키로 한 정부의 정책은 ‘규제인 듯, 규제가 아닌 조치’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가상화폐 투기 과열은 더욱 짙어졌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내년 초 코스닥 활성화 정책을 내놓기로 했다. 업계는 연기금의 코스닥시장 10% 투자 유도를 유력하게 보고 있다. 현재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은 2% 수준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기관의 매수 확대가 아닌 코스닥시장이 자체적인 경쟁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설익은 정책은 역풍을 불러온다. 어느 때보다 정부의 꼼꼼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