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세계적인 가상통화 열풍을 보면 금융완화기조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비이성적 과열도 일부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는 또 글로벌 경제 부채와 관련해 최근 한 외신의 헤드라인을 장식한 ‘뉴하이(new high)’ 우려를 소개하면서 “가뜩이나 커진 금융불균형이 더욱 쌓이고 위험자산 선호경향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그 이후에 어떤 형태로 조정이 이뤄질지 그리고 그 영향이 어떠할지에 대해 세계의 모든 중앙은행들은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성장세가 확대되지만 물가상승압력은 크지 않은 소위 골디락스로 불리는 지금의 글로벌 경제상황이 과연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거리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골디락스란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딱 적당한 상태다. 금융시장에서는 이런 환경을 우호적으로 받아들여 주요국 주가가 사상최고치로 올라가고 장기 채권가격이 높은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부에서는 과거 버블 때와는 달리 펀더멘탈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이성적 과열이라는 견해를 나타내기도 하나, 저금리와 과잉 유동성이 근본 원인이라는 또 다른 반론도 있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를 화폐로 볼 수 없다는 입장도 재확인 했다. 다만 향후 진전 상황과 중앙은행 정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가상통화는 법정화폐로 볼 수 없다.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도 불과 일주일전에 이는 매우 투기적인 수단으로서 안정적인 가치저장 수단이 아니다라고 경고한 바도 있다”고 전했다. 그는 다만 “많은 나라 중앙은행들이 가상화폐에 대해 연구하고 있고 한은도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가상통화가 본격적으로 확산된다면 그것이 중앙은행 통화정책에, 통화파급경로에, 지급결제시스템에, 금융안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