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성장과 물가경로 상에는 여러 가지 국내외 불확실성 요인이 상존해 있다. 추가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미리 예단해 말하기 곤란하다.”
결국 불확실성이 커 그때그때의 여건 변화를 봐 가면서 통화정책을 펴 나갈 수밖에 없음을 인정한 셈이다. 실제 이 총재는 “시장참가자들은 중앙은행이 향후 통화정책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소통해 줄 것을 바라지만 중앙은행을 둘러싼 정책여건이 워낙 날로 불확실하다보니 중앙은행도 앞으로 발생할 일을 사전에 정확히 알 수 없다”며 “이를 확실하게 전달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
기준금리 인상과 자신의 임기와는 관계가 없음을 강조했지만 내년 3월말로 끝나는 임기 안에 인상할 수 있었던 기쁨까지는 감추지 않았다. 이 총재는 “임기와 통화정책은 관련이 없다고 수차례 말했지만 세간에서는 양자를 연관 지어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가보다”며 “작년 4월에 퇴임한 4명의 금통위원들도 퇴임하면서 공통적으로 했던 말이 금리 한 번 올리고 나가는 게 소원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국내 경기의 견실한 회복세에 따라 금리정책 정상화의 첫 걸음을 내딛을 수 있었다. 경기가 좋아져 금리정상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은 기대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기존 연 1.25%에서 연 1.50%로 올려 6년5개월만에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1400조 원을 넘기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계부채에도 불구하고 이번 금리인상이 부담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다만 추가 금리인상이 이뤄질 경우 가계의 이자부담을 고려할 것임을 밝혔다.
이 총재는 “금리를 올리면 자산보다 부채를 더 많이 보유한 가계의 이자부담은 늘어나게 돼 있다. 불가피한 현상으로 원래 금리정책은 그렇게 하는 것”이라며 “가계의 이자부담 증대가 실물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정도라든가 금융시스템에 부담을 줄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 된다면 그때 가서 가계들의 이자부담을 다시 짚어볼 상황”이라고 덧붙였다.